산업 >

정부, 원전 해체시장 참여한다지만…세계시장규모 작을수도

국내 기술력 높지 않고.. 세계시장규모 작을수도

문재인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원전 해체시장 적극 참여가 포함되면서 시장 규모에 관심이 쏠린다.

우리가 우수한 원전 해체기술을 보유했다 해도 내다 팔 시장이 없으면 정부 청사진은 공염불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세계 원전 해체시장 규모는 예상보다 작을 가능성이 높아 원전 관련산업의 성장동력이 될지 미지수다.

23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원전 해체는 원전 가동을 멈춘 뒤 해당 시설과 부지를 철거하거나 방사능 오염을 제거하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단순한 원전 영구정지와는 의미가 다르다. 이 때문에 원전 해체사업은 방사선안전관리, 기계, 전기, 화학, 토건 등 여러 분야의 지식과 기술이 복합된 종합 엔지니어링.융합 기술로 꼽힌다.

올해 4월 현재 세계 원전시장을 보면 611기 가운데 160기가 영구정지됐고 19기는 해체가 끝났다. 141기는 해체가 진행되거나 준비 중이다. 다만 1960~1980년 건설된 원전의 사용기한이 임박해 2020년대에 183개, 2030년대 127개, 2040년대 89개 등 해체에 들어가는 원전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원전 해체 소요 비용(2014년 기준가)을 439조원으로 추산했다. 2029년까지 해체착수 원전 259개(72조원.연평균 4조8000억원), 2049년까지 190개(185조원.9조2000억원), 2050년 이후 26개(182조원.3조원) 등을 합한 수치다.

원전은 해체하기 위해 통상 5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비용은 단계별로 차이가 난다. 439조원 가운데 △해체공정, 자금 등 계획과 사업관리를 하는 해체 준비에 125조원(28%) △시설물의 방사능 오염을 제거하는 제염 21조원(5%) △원자로 등을 해체하는 핵심공정 분야인 절단 및 해체 136조원(31%) △방사성 금속.콘크리트 등 위험물의 포장과 감용 단계인 폐기물 처리 112조원(26%) △보조시설물 철거와 토지.지하수 회복 등 부지 복원에 45조원(10%) 등이다.

따라서 이 중 비교적 규모가 큰 해체 준비, 절단 및 해체, 폐기물 처리 등을 집중 공략해도 향후 원전 해체시장에선 일정부분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원전 해체는 전 공정이 유기적으로 흘러가야 하므로 한 공정에서 인정을 받으면 다른 공정도 수주하기 쉽다.

다만 해체비용 가운데 절반 이상은 폐기물 처리비와 인건비 등이 차지하기 때문에 우리가 도전할 시장 규모는 예상보다 작아질 가능성도 있다. 미국전력연구원(EPRI) 보고에 따르면 원전 해체비용 중 방사성 폐기물 처리(19%)와 해체시설 설계·관리 등 인건비(43.5%)가 62.5%를 차지했다. 제염.철거는 23.6%, 기타비용은 13.9%였다.


후발 주자인 우리나라가 원전 해체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지도 숙제다. 우리는 아직 완전한 원전 해체기술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한수원은 해외사례 분석 등을 통해 원전 해체에 필요한 상용화기술 41개는 확보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17개는 아직 얻지 못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