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긴급진단 한반도 지진] 지진대응 매뉴얼은 "지역별 지질파악부터"

“지역마다 땅속 사정이 다르기 때문에 지진대응매뉴얼은 해당지역 지질 파악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박정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 센터장은 이날 포럼에서 경주와 포항 지진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단층의 이동방향과 진앙의 깊이 등 지진현상의 차이는 경주와 포항지역의 지질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박 센터장은 “경주의 경우 암반 위주의 지질인 반면 포항의 경우 진앙지 부근이 토사 위주였다”며 “영일만 등 해안 쪽으로 갈수록 퇴적층 위주의 지질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포항에서 본진 발생 후 3개월 뒤 규모 4.6의 여진이 뒤늦게 발생한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토사질의 경우 응력이 빠르게 반영되지만 암반지역에서는 지진파가 다르게 반영된다는 설명이다.

특히 건축물에 주는 충격도 달라 포항의 경우 2~5층의 저층의 주택이 많이 파괴된 것 역시 토사 위주의 지질 때문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질학적인 현실을 고려한 현실 대응 방안이 수립돼야하며 재난 발생 시 중앙정부가 아닌 자치단체장이 책임지고 현장을 지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센터장은 “나까가와 마사하루 일본 중의원이 기조연설을 통해 '일본의 경우 지진 등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지역 현실을 반영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계획과 훈련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설명한 이유 또한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박 센터장은 기상청이 현재 시행 중인 경보체계는 외부지향경보(Out-ward warning)방식으로, 대국민 신속 통보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앞으로는 내부지향경보(In-ward warning) 방식이 포함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지진조기경보체계(HB-EEW)를 구축해야 한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박 센터장은 또 민간참여를 확대하는 등 현재 우리나라의 지진정보의 전달 체계와 지진관측법은 개선과 개정이 필요하고 주장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