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강문순의 이슈 들여다보기] '작전주 놀이터' 코스닥이 변했다

우량종목 늘면서 실적중심 투자로 전환
우량 기술주 상장 늘면서 시총 1조 기업 42곳으로
KRX300 등 유동성 증가.. 외국인·기관 거래 비중 17%

[강문순의 이슈 들여다보기] '작전주 놀이터' 코스닥이 변했다

'개미(개인투자자)들의 놀이터' '작전주의 온상' 등 온갖 비아냥을 들었던 코스닥시장이 기관과 외국인투자자의 거래 비중이 늘면서 시장 건전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력과 실적이 뒷받침 되는 우량기업 상장이 늘면서 이들에 대한 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기관.외국인 매매비중 17.4%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시장에서 기관.외국인의 매매비중은 지난 2007년 7.1%에서 2013년 10.1%, 올해 7월에는 17.4%까지 높아졌다. 금융위기 이후 기술력과 실적이 뒷받침되는 우량 기업들이 잇따라 상장되면서 투자 가능한 대형 기업이 늘어난 덕택이다. 실제 코스닥 신규 상장사는 2013년 40개에서 2014년 69개, 1015년 122개로 고점을 찍고 주춤했으나 올해는 다시 100개가 넘을 전망이다.

실적이 뒷받침되는 우량 기술주가 늘어나면서 코스닥 시가총액 1조클럽 가입 기업 수도 늘어나는 추세다. 2008년 4개이던 시총 1조 이상 기업은 2015년 19개, 올해 1월 말에는 42개까지 늘었다. 보통 외국인과 기관이 투자할 수 있는 코스닥 상장사의 매출과 시가총액 기준은 최소 500억~1000억원이다. 하지만 더 큰 돈을 굴리는 자산운용사들은 시가총액이 최소 3000억원은 넘어야 한다.

코스닥기업들의 수익성 전망도 나쁘지 않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해 코스닥기업의 순이익률은 3.47%지만 올해 7.9%, 2020년에는 10%가 넘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운수 코스닥시장본부장은 "금융위기 이후 신규 상장사들은 벤처캐피탈의 기술성 평가를 통한 자금조달 통해 상장한 뒤 코스닥에 입성한 경우가 많다"며 "시가총액 1조원이 넘는 상장사가 많아지면서 코스닥시장은 성장성은 물론 안정성까지 갖춘 시장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KRX300 등 장기적으로 호재

정부가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자본시장의 체질 개선에 나서는 것도 긍정적 요소다. 정부는 올해 초 30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 상장 여건 대폭 완화, 코스피와 코스닥을 아우르는 KRX300 등 통합지수 개발 등을 골자로 한 코스닥 활성화 정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KRX300 개발로 연기금 등 기관과 외국인의 자금유입이 기대된다. 실제 지난 6월에는 우정사업본부가 벤치마크지수를 코스피200에서 KRX300으로 교체하기도 했다. 여기에 6월에는 코스닥기업 비중이 60%가 넘는 KRX Mid 지수가 만들어졌고, 곧이어 KRX 300 섹터지수까지 나오면 코스닥시장에서의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비중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4월 출범한 코스닥벤처 펀드도 출범 3주 만에 판매액이 2조원을 돌파하는 등 현재까지 3조원이 넘는 돈이 몰렸다. 올해 연초 이후 코스닥시장이 급락하면서 수익률은 좋지 않지만 상황이 반전되면 코스닥시장 건전성에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1월에는 총 3000억원 규모의 스케일 업(성장) 펀드를 조성해 저평가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신규자금을 공급한다.

지난 20일 금융위원회 김용범 부위원장은 코스닥시장 점검 간담회에서 "창업 초기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기에 충분한 모험자본을 공급하는 것이 자본시장 본연의 기능이고 그 중심에 코스닥 시장이 있다"며 "하반기 자본시장 개혁과제를 마련해 비상장 중소.벤처기업이 성장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문호 더 넓히고 퇴출도 늘려야

증권가에서도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최길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닥시장은 정부의 혁신성장 정책의 성과를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라며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으로 기관투자가들의 투자가 늘어나면 코스닥시장 건전성에도 도움이 될 것"고 강조했다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전문가들은 "'돈의 힘(유동성)'으로 시장을 단기적으로 키울 수는 있지만 이에 따른 거품은 금새 꺼진다"며 "우량기업에 코스닥 진입의 문호를 넓히고, 부실기업 조기 퇴출' 시스템을 갖추는데 정책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한다.

mskang@fnnews.com 강문순 자본시장 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