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울산=최수상 기자】 낙동강 하굿둑의 개방으로 취수원 지역까지 염수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하루 100만 톤을 취수하는 울산시로서는 이에 따른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울산발전연구원에 따르면 ‘낙동강 하굿둑’은 1987년 낙동강 하구지역에 생활.농업.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김해평야 등 농업지역의 염해 피해 방지 및 토지이용 효율 증대를 위해 만들어졌으나, 낙동강 하류는 녹조 발생과 같은 환경 악화와 재첩, 장어 등의 생태계 단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부산시와 부산지역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위한 노력을 활발히 펼치고 있는 상황이다. 개방 시점도 앞당기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하굿둑과 관련한 세계적 추세 또한 구조물 해체 및 해수 유통을 통한 재자연화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환경부는 2013년과 2014년 2차례에 걸친 연구용역을 통해 하굿둑 개방의 영향과 개방을 통한 생태복원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2018년 현재 하굿둑 운영 개선과 생태복원을 위한 3차 연구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 공동으로 진행되고 있다.
울산의 경우 낙동강 하굿둑 완전 개방 이후를 대비해야 한다. 하굿둑이 완전히 개방되면 염수(바닷물)는 약 33㎞지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면서 울산의 생활용수와 공업용수의 염수 유입 가능성이 있기때문이다.
울산시의 생활 및 공업용수 취수원인 원동취수장은 하굿둑으로부터 27㎞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울산시는 이곳에서 생활용수 20만t, 공업용수 80만t 등 하루 평균 약 100만t을 취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울산발전연구원 환경안전팀 윤영배 박사는 “하굿둑 개방은 환경 개선 및 생태계 복원의 순기능이 있으나 염수 유입으로 낙동강 하류지역의 농업피해 발생, 인근지역 생활.공업용수 공급 차질로 인한 불편, 산업단지 가동 중단 등의 역기능도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부산시는 1차적으로 하굿둑으로부터 약 10㎞ 지점까지 기수역*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하굿둑 완전 개방(약 33㎞ 유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염수 유입 영향범위에 생활.공업.농업용수 취수원을 두고 있는 부산, 울산 등 지자체의 공동 대응을 위한 협의회 구성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윤 박사는 이에 따른 대응 방안으로는 △수문개방 시범운영 시 실증실험 데이터의 지자체협의회 확인 △원동취수장 하류지점의 단계별 염수 유입 관측시스템 설치 및 모니터링 데이터 공유 △식수 피해 및 공장 피해에 대한 보상방안 요구 △장기적 대책으로 생활용수 취수원 추가 요구 및 공업용수 취수원 상류 이전 요구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