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포춘클럽 라운지]IBK기업은행, 中企대출로 ‘초격차’ 성장

가계대출 성장 둔화 수혜..중소기업금융채권 발행 가능해 조달 강점


IBK기업은행 2018년 3·4분기 경영현황
(억원, %)
누적 당기순이익 1조4603
총자산 285조7000
총대출 192조1000
중기대출 시장점유율 22.6
중소기업 대출 비중 78.7
NIM 1.95
IBK기업은행은 올해 중소기업대출 시장에서 성장이 예상된다. 정부 규제로 가계대출의 성장폭이 둔화되면서 중소기업대출이 유력한 성장동력으로 떠오르면서다. 기업은행의 중기대출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3·4분기 기준 약 22.6%로 국내 은행권 1위다. 2위 KB국민은행(14.5%)과도 차이를 크게 벌렸다. 고객 확보를 위해 금리 경쟁이 불가피한 후발주자보다 유리한 배경이다.

■지배주주 순익 최대 전망
14일 금융투자업계와 은행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지난해 3·4분기 말까지 중기대출 8조7000억원이 순증했다. 연초 목표 8조5000억원을 초과 달성한 셈이다. 은행권 최초로 중기대출잔액 150조원 돌파와 기업고객 수 150만개 달성이라는 기록도 세웠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의 2014~2018년 중기대출은 매년 6% 이상 늘어나고 있다. 총 대출의 78.7%가 중기대출인 만큼 가계대출 규제 시대에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다. 안정적인 대출 성장률이 예상된다.

대손비용률도 크게 낮추면서 순익 증가가 예상된다. 대손비용률은 2017년 1·4분기 0.74%에 달했지만 2018년 3·4분기 0.58%까지 낮췄다. 중기대출에 매진하며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제 중소기업신용평가모형 및 건전성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등 건전성 관리 노력의 결과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신용등급이 A 이상인 중소기업의 대출 비중을 대폭 늘리는 체질 개선을 실시한 만큼 앞으로 자산건전성을 안정적으로 관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업은행은 연결기준 지난해 3·4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이 1조4603억원을 기록했다. 하나금융투자는 기업은행의 2018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10.05% 증가한 1조6524억원에 이를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지배주주 순이익도 최대치가 기대된다. 김인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2018년 지배주주 순이익은 1조7000억원으로 최대를 기록할 것”이라며 “원화대출 성장 지속 등에 힘입어 올해도 전년보다 5.2% 늘어난 1조8000억원의 최대 실적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회사 및 글로벌 수익 다변화
자회사 성장과 글로벌 사업 확대 등 수익 다변화도 기업은행의 미래를 밝게 하는 부분이다. 기업은행은 IBK캐피탈, IBK투자증권, IBK연금보험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이들 자회사의 수익기여도는 2015년 10.4%에서 2017년 12.6%, 2018년 3·4분기 말 14.5%로 확대됐다. 기업은행은 대형업체의 인수나 합병 없이 자생적으로 지금의 성장을 이끌어낸 전력을 볼때 향후 성장이 기대된다.

또 기업은행은 ‘아시아 최고의 중소기업전문은행’이 되겠다는 목표로 지난해 캄보디아 프놈펜지점 개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사무소 개소, 인도네시아 현지은행 2개 인수 등 해외시장 확대라는 성과를 냈다. 올해는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공식 출범 등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이 많이 진출하고 있는 아시아지역을 집중 공략, 아시아 금융벨트를 완성할 계획이다.

배당매력도 기업은행의 투자 포인트다. 정부의 ‘정부출자기관 배당성향 가이드라인’과 최근 시장에 확산되고 있는 주주환원 확대 추세에 따라 기업은행의 배당성향도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에도 은행기준 배당성향 30.9%와 시가배당률 3.7%로 은행권 최고 수준의 배당을 기록했다.

김인 연구원은 “2018년 주당 배당금은 700원으로, 12월 28일 종가기준 배당수익률 5.0%를 예상한다”며 “올해 이익증가와 배당성향 소폭 상향을 감안하면 주당배당금 최소 750원으로 2019년 5.5%의 높은 배당수익률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더불어 주가순자산비율(PBR)이 0.45배라는 점도 앞으로 주가상승을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이 확실시되고, 향후 성장 전망이 밝은 것을 고려하면 저평가라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