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이슈분석] 롯데 빗장 푼 중국..속내는'내수 부양'

'사드보복 결정판' 롯데타운 재개
건설중단 위기인 롯데월드·호텔..선양시, 2년만에 시공 인·허가
中, 무역전쟁 여파로 경기침체..내수부양 위한 韓자본 유치 시급

[이슈분석] 롯데 빗장 푼 중국..속내는'내수 부양'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중국의 한국기업을 겨냥한 사드 보복 결정판으로 각인된 선양 롯데타운의 시공이 재개될 전망이다. 중국이 사드 보복 일환으로 전개했던 중국인 한국단체관광 금지 등이 단계적으로 암암리에 해제되면서도 롯데에 대한 보복은 꺾일 줄 몰랐다. 롯데가 사드 부지(롯데 성주골프장)를 제공한 게 괘씸죄로 걸렸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선양시 정부가 지난달 15일 2년간 공사중단에 처했던 롯데월드와 호텔 등을 비롯한 롯데타운 2기에 대한 시공 인허가를 내줬다.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중국이 소원했던 한·중 관계 복원을 위한 차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과 내수침체 탓에 해외직접투자가 절실해진 중국이 심각한 경기침체에 빠진 동북3성의 발전을 위해 선양 롯데월드 공사를 허가했다는 시각도 있다.

■한·중 사드 갈등 해소 차원

사드 문제는 중국 정부뿐만 아니라 일방적으로 공격을 당한 한국기업들에도 암묵적 해결로 푼다는 게 일종의 불문율처럼 돼있다. 한·중 관계 복원을 위해 사드를 풀어야 하는 내부 압력에 직면한 중국 정부는 사드 해소에 대한 소식이 중국 내 회자되는 걸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중국 내 사드 반감을 한껏 끌어올렸다가 다시 해제하는 게 중국 내 여론에서 이율배반적으로 비칠 수 있어서다. 보복을 당해온 한국기업도 중국의 보복 소나기가 그치는 게 그나마 경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사드 보복 해제만 기다리는 식이다.

이에 선양 롯데월드에 대한 시공 인허가 조치는 사드 갈등으로 경색됐던 한·중 관계를 복원하는 과정에 의미 있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한국 단체관광 금지 해제 등 사드 해제 조치를 내놓던 중국이 유독 롯데에 대해서만큼은 철저히 배제하는 행보를 보여왔는데 선양 롯데월드 공사를 허가했기 때문이다.

지난달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리커창 중국 총리와 한·중 총리회담을 갖고 미세먼지 관련 논의를 하는 자리에서 롯데그룹의 선양 공사 재개 허가를 당부한 바 있다.

특히 이번 중국 당국의 조치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6월 남북한 답방설과 연계해 바라보는 관측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한 가운데 시 주석도 외교 관례에 따르자면 연내에 남북한을 모두 답방해야 하는 입장이다. 더구나 한반도 문제를 포함해 동북아에서 세력 확장을 꾀하는 중국으로선 한·중 관계를 재정립해야 하는 상황이다.

■경기부양 위해 외자도입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한 중국의 유화적 제스처라는 해석 외에 중국의 경제적 이익 확보를 위한 선택이라는 관측도 있다. 중국은 내수침체에다 미·중 무역전쟁 탓에 경제성장률 하락과 해외직접투자 유치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에 중국은 중국 내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최대국가인 한국의 자본 유치가 절실하다. 중국 투자에 기여도가 가장 높은 한국의 자본을 유치해 위축된 중국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롯데월드 공사 허가라는 유화적 시그널을 보냈다는 것이다.

미·중 무역전쟁 와중에 외자 유치에 고심 중인 중국은 지난 1·4분기에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규모가 전년 대비 6.5% 증가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한국이 홍콩을 제외하고 대중국 투자 1위를 기록하는 등 최대 큰손이 됐다.

더구나 중국 내수침체가 가장 심한 곳으로 동북3성을 꼽는다.
동북3성은 석유·석탄 등 풍부한 자원에 의존해 고속성장을 이뤘지만 산업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며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급기야 인구가 급격히 빠져나가 도시 위축이 심각한 상황이다. 롯데월드가 동북3성에 위치하고 있어 공사 재개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란 계산이 나온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