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

분명 KBO인데… 한국인 투수 이름이 안보인다 [성일만 야구선임기자의 핀치히터]

평균자책점·다승·탈삼진 왕좌
최근 5년 외국인 투수가 싹쓸이
류현진·김광현 가고 더 기울어
올시즌 샛별 장재영·김진욱 등장
토종 에이스 부활의 신호탄 기대

분명 KBO인데… 한국인 투수 이름이 안보인다 [성일만 야구선임기자의 핀치히터]
분명 KBO인데… 한국인 투수 이름이 안보인다 [성일만 야구선임기자의 핀치히터]
키움 장재영/사진=뉴스1
분명 KBO인데… 한국인 투수 이름이 안보인다 [성일만 야구선임기자의 핀치히터]
NC 구창모/사진=뉴시스
지난 2020년 프로야구 다승과 평균자책점 순위를 보면 조금 민망하다. 양 부문 모두 1위부터 5위까지 외국인 투수 일색이다. 이런 현상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다승 1위는 2018년부터 3년 내리 외국인 투수가 차지했다.

평균자책점은 최근 5년 동안 4-1로 외국인 투수 우세였다. 탈삼진 부문은 아예 5년 연속 외국인 투수들이 싹쓸이해 갔다. 과거에도 늘 이랬던 건 아니다. 최근 20년을 놓고 보면 팽팽한 균형을 이루어 왔다.

평균자책점 1위 자리는 10-10으로 딱 절반씩 차지했다. 다승 부문 역시 8-8로 균형을 이루었다. 나머지 4번은 토종 투수와 외국인 투수가 공동 수상. 최근 완연한 열세인 탈삼진 부문은 오히려 11-8로 우세다. 한 번은 공동 1위.

평균자책점은 투수의 자존심이다. 다승이 약간의 운, 팀 전력과 관련 있는 반면 평균자책점은 투수의 개인기와 더 밀착해 있다. 그런 점에서 다승은 투수의 훈장과 같다. 2001년부터 초반 10년 동안 토종 투수들이 평균자책점에서 7-3으로 우세를 보였다. 이 기간 류현진(당시 한화·2006년 2.23, 2010년 1.82)이 두 차례, 손민한(당시 롯데·2005년 2.46) 김광현(당시 SK·2009년 2.80) 윤석민(당시 KIA·2008년 2.33)등이 한 차례씩 토종 투수의 자존심을 지켰다. 윤석민은 2011년에도 2.45로 이 부문 정상에 올랐다. 이 해 윤석민은 투수 4관왕과 시즌 MVP까지 휩쓸어 2011년을 오롯이 자신의 해로 만들었다. 이후부터 토종 투수들은 내리막길로 접어들었다.

2012년 브랜든 나이트(당시 넥센·2.20)에게 1위 자리를 내준 후 9년 동안 양현종(KIA·2015년 2.44 2019년 2.29)을 제외하곤 누구도 왕좌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최근 9년간 토종 투수와 외국인 투수의 점수는 2-7.

다승부문 역시 초반 10년 토종 투수들이 우위를 보였다. 10년 성적은 6-2(두 번은 공동 1위). 김광현(2008년 16승, 2010년 17승) 손민한(2001년 15승, 2005년 18승)이 두 차례, 류현진(2006년 18승)이 한 차례 훈장을 가슴에 달았다. 류현진은 2006년 투수 3관왕과 MVP, 신인왕을 동시에 수상했다. 한국 프로야구 유일한 대기록.

다승 역시 후반 10년 외국인 투수들이 득세했다. 2-6으로(2번은 공동 수상) 토종 투수들이 열세를 보였다. 2013년 이후 토종 투수들 가운데 다승 단독 1위에 오른 투수는 아무도 없다.

올해는 어떨까. 류현진(토론토 블루제이스)에 이어 김광현(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이 메이저리그로 진출하면서 엄청난 손실을 입었다. 하지만 양현종의 국내 잔류가 유력시되고, 구창모(NC) 소형준(KT) 이민호(LG) 최원준(두산) 최원태(키움) 등 새 희망들이 뒷받침된다면 온통 먹구름 천지는 아니다.


특히 올 시즌에는 장재영(19·키움) 김진욱(19·롯데) 이의리(19·KIA) 이승현(19·삼성) 등 눈에 띄는 대형 신인 투수들이 많다. 최고 구속 157㎞의 우완 정통파 장재영과 완성형 좌완 투수라는 평가를 받는 김진욱에 거는 기대가 크다.

류현진의 ML 진출 이후 가속화되어 온 토종 투수의 열세. 구창모의 지난 해 폭풍 성장처럼 소형준과 이민호, 장재영 등이 뒤를 잇는다면 평균자책점 10-10의 균형을 토종 쪽으로 가져 올 수 있다.

texan509@fnnews.com 성일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