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13년차 맞벌이 부부 "사치 한 번 안하고 일만했는데 자산은 왜 점점 줄어들까요" [재테크 Q&A]

소득 늘면 소비도 증가… 자금운영 계획부터 세워야

13년차 맞벌이 부부 "사치 한 번 안하고 일만했는데 자산은 왜 점점 줄어들까요" [재테크 Q&A]
Q. 자녀 2명을 둔 13년차 부부 A씨와 남편 B씨는 평생 월급 관리를 해보지 않았다. 둘 다 낭비와 사치가 크지 않은 터라 그때그때 필요한 곳에 돈을 쓰고 그 잔액을 전세 보증금이나 분양 계약금, 아파트 입주 비용으로 사용했다.

일반 생활에서도 적금을 들기보다 예금 통장에 자금을 넣어두었다가 필요한 만큼만 꺼내 사용하는 식이었다. 무엇보다 자녀들을 키우고 맞벌이로 각자 직장 생활이 바쁘다 보니 따로 소득을 관리할 여력이 없었다.

문제는 1~2년 전부터 생활비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통장에 있는 돈은 늘 여윳돈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 금액이 줄어들면서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아이들 교육비는 물론 노후 자금도 마련하지 못해서다. 4년 전 내 집을 마련하면서 발생한 대출에 이 돈을 쓰기도 망설여진다.

일단 매월 250만~300만원씩 나가는 생활비를 100만원 수준으로 줄여보려고 하는데, 지금껏 소비 흐름을 바꾸는 게 마음처럼 안 된다. 이들 부부는 돈 관리를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막막하다.

40대 초반 A씨 부부의 월 소득(세후)은 총 670만원(A씨 300만원, B씨 370만원)이다. A씨는 이와 별도로 연간 기타 소득 800만원을 벌고 있다.

월 지출은 615만~715만원으로 소득을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주택담보대출 상환 140만원, 보험료 45만원, 교육비 80만원, 자녀 돌봄비 50만원, 생활비 및 용돈 300만~400만원 등이다. B씨는 월급에서 신용카드 결제액, 자동 이체 등을 쓰고 돈이 남으면 다시 예금 통장으로 송금하고 부족하면 요청해서 받고 있다. A씨 역시 마찬가지다.

자산으로는 시세 7억원짜리 아파트와 입·출금 통장에 들어있는 2700만원 등이 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억2000만원(납입기간 26년)이 있다. 부부의 퇴직 연령은 60세로, 20년 가까이 남았다.

A. 금융감독원은 낭비나 사치를 하지 않는다고 자산을 늘리거나 부채를 줄일 수 있는 게 아니라면서 소득수준이나 가계 재무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지출을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소득이 늘면 소비 성향도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예산을 계획해 사용하는 습관을 익히지 않으면 결국 재무 문제에 봉착한다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이 안 되는 근본적 이유는 소득에서 얼마를 쓰고 얼마를 남겨야 할지 잘 알지 못하고, 이에 따라 제대로 된 자산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A씨 부부 경우에도 쓸데없는 지출을 하지 않고 있다고 믿지만 소득 증가, 자녀의 성장, 노령화 등에 따른 재무 변화가 나타나면서 지출이 커지고 있다. 총소득과 지출로 구분해 지출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면 자산 규모는 점차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게 금감원의 분석이다.

금감원은 우선 부부소득 내용을 파악하고 자금의 운영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권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A씨 부부는 우선 매월 일정하게 활용 가능한 월 소득과 상여금, 수당, 성과급 등으로 구성된 연간 기타 소득을 구분해야 한다. 전자는 고정저축, 고정비, 변동비, 부부용돈 등으로 사용하고, 후자는 추가 저축이나 부채원금 상황 용도로 쓰면 된다.

지출을 항목별로 구분해 정리하는 일도 중요하다. 계획이 없다면 건수와 비용은 늘 수밖에 없다. 보험료, 부채비용, 교육·양육비를 고정비로 편입하고 관리비, 공과금, 식비 등은 변동비로 적는다.

부부용돈은 별도로 표기한다. 이외 명절, 가족 이벤트, 자동차 보험료, 세금, 휴가비, 경조사예비비, 의류비, 미용비 등은 연간 비정기 지출 항목으로 넣으면 된다.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계획도 꼼꼼하게 세워야 한다. 퇴직(60세)부터 국민연금 수령 전까지는 저축 및 투자자산,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된다. 사용 시점과 액수는 퇴직 1~2년 전에 정립해놓는 게 좋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은 '15년 내 상환'을 목표로 정할 것을 권유했다. 퇴직 전 부채상환을 끝마치고 주택연금 등 노후자산 활용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월 상환 비용 140만원을 유지하되 연간 기타소득에서 추가 상환하고, 향후 소득 증가 시 그 액수를 늘리는 게 적절하다는 게 금감원의 판단이다.


현재 8세, 12세인 자녀의 대학교육 자금을 위해서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통해 월 50만원 저축 혹은 투자할 것을 권했다. 이 자금은 중간에 지출되는 사교육비와 구분돼야 한다.

인터넷 검색창에 파인을 입력하거나 금감원콜센터 1332(▶7번 금융자문서비스)로 전화하시면 무료 맞춤형 재무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