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 3조원대...금감원 "영향 제한적" 강조

보험·은행·증권 등 순으로 투자 많아
금감원 "금융 시스템에 영향 제한적"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 3조원대...금감원 "영향 제한적" 강조
사진=뉴스1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 3조원대...금감원 "영향 제한적" 강조
금융감독원 제공

[파이낸셜뉴스]미국 등을 중심으로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금융회사도 5.9%의 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투자 원금이 56조400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약 3조3300억원에 대해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한 것이다. 투자 규모가 가장 큰 북미 지역 부동산 가격 조정은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는 판단이지만 이외 유럽 등 지역을 중심으로 손실이 더 확대될 우려가 있다.

보험 등 금융사 56.4조원 투자해 5.6% 손실

22일 금융감독원은 ‘2023년 9월말 기준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업권별로 보험사가 31조9000억원(56.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은행 10조1000억원(17.9%), 증권사 8조4000억원(14.9%), 상호금융 3조7000억원(6.6%), 여전 2조2000억원(0.5%), 저축은행 1000억원(0.2%) 등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에 34조5000억원으로 61.1%의 투자가 몰렸다. 이외 유럽 10조8000억원(19.2%), 아시아 4조4000억원(7.9%), 기타 및 복수지역 6조6000억원(11.8%) 등이었다.

금감원은 신규 투자가 정체됐고 금융회사의 손실흡수 능력을 감안했을 때 투자 손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전 분기 대비 EOD 발생 자산이 증가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실제 지난해 9월 말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5조8000억원 중 2조3100억원(6.46%)에서 EOD 사유가 발생했다. 선순위 채권자에 대해 이자 또는 원금을 미지급했거나 자산가치가 하락하면서 담보인정비율(LTV) 조건에 미달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복수자산에 투자한 20조5000억원을 더해 분석하면 손실률은 총 5.9%로 나타났다. 블라인드 펀드, 재간접 펀드 등에 대한 투자로 약 1조100억원(5.0%) 규모 손실을 보게 된 셈이다. 김병칠 금감원 전략감독 부문 부원장보는 "블라인드 투자는 투자대상이 분산돼 있어 상대적으로 손실률이 낮다"며 "개별자산 투자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블라인드 투자보다 1.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손실흡수 충분히 가능...감독 강화할 것”

문제는 향후 해외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추가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9월 말 이후에도 3건의 추가 EOD가 발생하면서 올해 2월 현재 단일 사업장에 대한 손실 확정 규모는 2조4000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소폭 또 늘었다.

이런 가운데 올해에만 전체 대체투자 잔액의 22.5% 상당인 12조7000억원 규모 만기가 도래, 오는 2030년까지 77.5%(43조7000억원)의 만기가 기간 내 쏠려 있다.

다만 이런 투자 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게 금감원 판단이다. 금융회사 총 자산(6800조9000억원) 대비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0.8%로 국내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 규모보다도 절반가량 적은 수준이다.

특히 투자가 집중된 북미 지역의 가격 하락은 지난해에 비해 둔화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 부원장보는 “손실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LTV 조건에 미달해 EOD가 나타난 경우 투자자간 협의를 통해 추가 대출을 일으키거나 후순위 대출자 모집을 통해 만기 연장을 끌어가는 경우가 많다”며 “추가적인 상업용 부동산 가격조정이 일부 있더라도 전체적으로 투자에서 발생되는 손실 규모는 어느 정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금감원은 향후 해외 부동산 시장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적정 손실 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금융회사 및 금감원 해외사무소 등과 연계해 신속 보고체계를 운영하고, 만기임박 자산 등에 대해 금융회사 대응계획도 선제적으로 파악·관리할 예정이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