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금융사 해외부동산 투자 3조 손실... 금감원 "영향 제한적… 감독 강화"

금융권 전체투자 56조4000억
올해 만기도래만 12조7000억

미국 등을 중심으로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금융회사도 5.9%의 손실을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투자원금이 56조400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약 3조3300억원에 대해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한 것이다. 투자 규모가 가장 큰 북미 지역 부동산 가격조정은 마무리 국면에 들어섰다는 판단이지만 이외 유럽 등지를 중심으로 손실이 더 확대될 우려가 있다.

22일 금융감독원은 '2023년 9월 말 기준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업권별로 보험사가 31조9000억원(56.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은행 10조1000억원(17.9%), 증권사 8조4000억원(14.9%), 상호금융 3조7000억원(6.6%), 여전 2조2000억원(0.5%),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에 34조5000억원으로 61.1%의 투자가 몰렸다. 이 외에 유럽 10조8000억원(19.2%), 아시아 4조4000억원(7.9%), 기타 및 복수지역 6조6000억원(11.8%) 등이었다.

금감원은 신규 투자가 정체됐고 금융회사의 손실흡수 능력을 감안했을 때 투자손실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전 분기 대비 EOD 발생 자산이 증가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에 주목했다.

실제 지난해 9월 말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5조8000억원 중 2조3100억원(6.46%)에서 EOD 사유가 발생했다. 선순위 채권자에 대해 이자 또는 원금을 미지급했거나 자산가치가 하락하면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조건에 미달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복수자산에 투자한 20조5000억원을 더해 분석하면 손실률은 총 5.9%로 나타났다. 블라인드펀드, 재간접펀드 등에 대한 투자로 약 1조100억원(5.0%) 규모 손실을 보게 된 셈이다.

문제는 향후 해외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추가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9월 말 이후에도 3건의 추가 EOD가 발생하면서 올해 2월 현재 단일 사업장에 대한 손실 확정 규모는 2조4000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소폭 또 늘었다.

이런 가운데 올해에만 전체 대체투자 잔액의 22.5% 상당인 12조7000억원 규모 만기가 도래, 오는 2030년까지 77.5%(43조7000억원)의 만기가 기간 내 쏠려 있다.

금감원은 향후 해외 부동산 시장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적정 손실 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 확충을 유도할 계획이다.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