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어AX의 파이어워처 이미지. 스피어AX 제공.
[파이낸셜뉴스] 최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산불 감지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의성 지역에는 산불 감시 카메라가 한 대도 설치되지 않아 초동 대응이 큰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해 의성 뿐만 아니라 전국의 지자체 등 산림 지역 및 위험 지역에 대한 산불 감지 시스템 도입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산불의 확산과 천문학적인 경제 손실로 인해 단순 CCTV 혹은 재난 발생 방지 플랫폼이 아닌 '산불 발생 및 확산' 방지에 특화된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실제로 지난 1월 설 연휴 첫날 대구 동구 백안동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대규모 산불로 번지지 않고 조기 진압된 바 있다.
눈에 띄는 점은 대구시는 자체 구축한 AI기반 ICT플랫폼으로 산림청보다도 6~7분 빠르게 연기를 감지하고 발화 위치까지 정확하게 파악했다는 점이다. 6~7분의 차이는 산불의 확대 속도를 생각하면 엄청난 차이다.
대구시의 조기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스피어AX가 개발한 산불 감지 시스템 '파이어워처(FIREWATCHER)'다.
'파이어워처'는 다채널 CCTV 영상에서 연기만을 감지하도록 설계돼 구름·안개와도 구분할 수 있다. 연기 위치를 자동으로 추정해 현장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시간 감지 정확도는 93.4%에 달한다. 1월 대구 산불은 산림당국의 헬기 6대, 차량 33대, 인력 96대 등이 투입돼 1시간 33분 만에 진화에 성공했으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현재 스피어AX의 파이어워처는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산림청 등에 도입 초기 상태다.
강원도 18개 시·군을 비롯하여 경상남도, 대구광역시, 전라남도 곡성군 등 전국 각지에서 해당 솔루션이 구축되어 운영 중이다.
세부적으로 아직 적용이 되지 않은 곳이 많아 이번 산불로 인해 적용 속도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한 스피어AX는 대신정보통신과 지난 1월 솔루션의 원활한 공급과 매출처 다변화를 위해 솔루션판매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대신정보통신은 스피어AX의 기술과 서비스를 고객사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전담 기술인력과 기술지원을 운용한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