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대학 총장들, 전 정부 정책 '라이즈' 유지 여부에 촉각

대교협, 전국 191개 회원대학 총장 대상 설문

대학 총장들, 전 정부 정책 '라이즈' 유지 여부에 촉각
대교협 제공
[파이낸셜뉴스] 전국 대학 총장들이 전 정부의 핵심 교육 정책인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 사업을 새 정부 출범 이후 지속 가능성과 안정적인 운영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라이즈 사업은 교육부가 대학 재정 지원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해 대학과 지역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2025년 하계대학총장세미나를 앞두고 전국 191개 회원대학 총장들을 대상으로 '2025 KCUE 대학 총장 설문(Ⅱ) PART 2.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특집' 설문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예산 안정성·정책 지속성 우려
이날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 총장들이 라이즈 사업과 관련해 가장 크게 우려하는 사항은 85명의 대학 초장이 '라이즈 예산의 안정적 확보 가능성', 77명의 대학 총장이 '라이즈의 정책적 지속가능성'을 꼽았다. 특히 사립 대학에서는 이 두 가지가 가장 높은 우려 순위를 차지했다. 반면 국공립 대학은 '지역특화산업 중심 학문분야 지원으로 인한 대학으로서의 정체성 약화'와 '지자체와 대학 간 소통 및 협력 부족'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돼 설립 유형별 차이를 보였다.

라이즈 사업이 각 성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는 정도를 5점 척도로 물은 결과, '지·산·학·연 협력 확대'가 평균 4점으로 가장 높은 기대를 모았다. 반면 '지역 인재 정주'는 평균 3.4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기대를 보여, 지역 인재 유출 문제 해결에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차별화 전략 수립'과 '균형적 권한 조정' 시급
대학 총장들은 라이즈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과 운영을 위해 여러 개선 사항을 제안했다.

가장 시급한 개선 사항으로는 '지역 내 대학 특성별 차별화 전략 수립'을 꼽았다. 또한, '사업비 배분 권한의 지자체-교육부 간 균형적 조정'과 '대학-지자체 간 수평적 협력 거버넌스 구축'도 중요한 개선 과제로 제시됐다. 이는 사업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대학과 지자체가 상호 존중하며 협력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대학가의 요구를 담고 있다.

라이즈 사업의 안정적인 안착과 운영을 위해 교육부와 지자체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도 명확한 의견이 모아졌다. 교육부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사항으로는 '안정적인 예산 확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책의 지속가능성과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한 핵심 조건으로 인식된다. 다음으로는 '대학 자율성을 보장하는 사업 운영 가이드라인 마련' 등이다.

지자체에게는 '지자체 차원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 계획 수립'이 가장 중요한 지원 사항으로 꼽혔다.
이는 지자체의 재정적 지원이 라이즈 사업의 성공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라이즈 정책의 지속가능성과 실행력을 위해서는 교육부와 지자체 모두의 안정적인 예산 확보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양오봉 대교협 회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라이즈가 조기에 안정적으로 정착돼 지역 균형 발전과 지속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는 데 있어 회원대학 총장들의 의견이 반영된 제도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및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소통·협력하겠다"고 말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