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3분기 경기 전망지수, 직전보다 2.7p 하락한 78.0 기록
전자부품 대폭 상승에도 제조업 5.7p 감소, 비제조업 0.4p 상승
중견련, “중견기업 투자와 고용 확대 위해 노력할 것”
[파이낸셜뉴스] 중견기업들은 올해 3·4분기 경기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여전히 비관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1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중견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5년 3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중견기업 3·4분기 경기전망지수는 78.0으로, 직전 분기 대비 2.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직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100을 밑돌면 반대라는 뜻이다.
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 분기(82.6) 대비 5.7p 내린 76.9로 집계됐다. 전자부품 업종의 전망 지수가 27.8p로 크게 오른 107.7을 기록했지만 자동차와 기타 제조 업종이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비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79.2로, 직전 분기 대비 0.4p 올랐다. 부동산과 운수 업종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수출 전망지수는 91.9로, 직전보다 5.3p 하락했다. 최근 10분기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제조업 부문의 경우 전자부품(112.8) 수출 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17.8p 상승했다. 다만 식음료품(36.1p), 자동차(16.2p), 1차금속(10.5p) 업종은 두 자릿수 하락폭을 기록했다. 비제조업 부문에서도 21.6p가 오른 운수업(97.8)을 제외한 모든 업종 전망이 하락했다.
내수 전망지수는 78.1로 전 분기 대비 1.4p 상승했다.
해당 지수는 6분기 만에 ‘긍정’으로 돌아섰다. 전자부품(109.5) 업종이 전분기에 비해 30.5p 오른 영향이지만 제조업(76.1p)은 5분기 연속 하락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정국이 안정화되고 코스피가 3100을 기록하는 등 긍정적 시그널이 있음에도 미국 상호관세, 수출 경쟁력 하락, 내수 부진 등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중견기업계의 부정적인 경기 체감이 이어지고 있다”며 “현장의 구체적인 애로를 해소해 중견기업의 투자와 고용 확대를 촉진할 실효성 있는 정책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더욱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kaya@fnnews.com 최혜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