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장인들이 만든 목(木)가구와 20세기 이후 김환기 이우환 박서보로 대표되는 한국 현대의 추상미술. 얼핏 보면 전혀 어울리지 않지만 한 걸음 물러나서 바라보면 목가구와 추상미술은 군더더기 없는 형상으로 맵시의 조화를 이룬다.
신세계백화점은 서울 충무로 본점 본관에 있는 아트 월 갤러리에서 ‘결과 시김의 정신’전을 마련하고 있다. ‘조선 목가구와 한국 현대 추상미술’이란 부제가 달린 이번 전시는 깊고 오랜 삭힘의 과정을 통해 그 본질이 표현되어 우러나는 한민족 특유의 미의식(시김)을 보여주는 자리다.
‘책을 읽기 위한 상’인 서안(書案)을 비롯해 조각 책장, 자개이층농, 약장, 찬장, 삼층 찬탁 등 18∼19세기 조선의 장인들이 만든 목가구는 단아한 선과 날렵한 결, 정연한 면 등이 조선의 선비를 닮았다. 목가구는 그 쓰임새에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도록 짜인 검박함과 정제된 화려함, 허수롭고 빈 듯한 여유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쓰는데 편리하고 보는데 아름다우며 정서적으로 편안하고 경제적으로 부담이 없는 생활 예술품으로서의 요건을 두루 갖춘 명품이라 할 만하다.
목가구 40여점의 품격을 더욱 돋보이게 해주는 김환기 박서보 이우환 정상화 정창섭의 추상미술 50여점은 한국 추상미술의 흐름을 시대별로 맛볼 수 있게 한다. 신세계 갤러리 지명문 관장은 “이번 전시는 과거와 현재, 동양과 서양의 물리적 경계를 넘어선 예술언어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그것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가를 점검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세계 백화점의 아트 월 갤러리는 지하 1층에서부터 지상 6층까지 엘리베이터홀과 각층 매장 내 아트 월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전시는 마치 초등학교 시절 소풍에서 보물찾기 하듯 작품을 감상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오는 9월 미국의 페이스 갤러리에서 전시를 앞둔 이우환 작가의 작품은 바람, 점, 선 등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두루 감상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시 작품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기를 원하는 관람객은 백화점 데스크에 신청하면 도슨트들이 직접 설명을 해준다. 전시는 4월 30일까지. (02)727-1542
/노정용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