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임에 따라 외환시장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으나 수출이 한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 환란이 재발할 확률은 외환위기 당시의 3분의1 수준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일 ‘한국의 금융위기 가능성 진단’ 보고서에서 “금융시장과 실물경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합금융안정지수(CFSI)를 통해 외환위기의 재발 가능성을 점검한 결과 올해 8월 현재 지수는 0.53으로 지난 97년 12월(1.74)의 30% 수준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특히 올해 8월을 단기 고점으로 9월 0.47, 10월 0.35 등으로 안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소는 “현재의 금융안정지수는 2001년 9.11테러 당시의 0.23, 2003년 카드사태 때의 0.21보다는 크게 높지만 외환위기를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면서 “이는 환율급등, 주가 급락 등 표면적인 현상과 달리 경제 펀더멘털이 10년 전에 비해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정호성 수석연구원은 “최근과 같은 불안이 장기화될 경우 상황이 갑작스럽게 악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며 “정부는 가능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선제적인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cha1046@fnnews.com차석록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