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송고+지면 =손학규계 집단 반발.."특정인 출마 말라는 것이냐"

민주당이 전당대회 규칙 마련 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당내 정중동 행보를 보이던 손학규계가 공개 비판에 나서는 등 당권을 둘러싼 샅바싸움이 치열해 지는 양상이다.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는 13일 당헌·당규분과위 첫 회의를 열어 지도체제와 당권-대권 분리 여부 등 전대 규칙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 이달 말까지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주요 당권 주자인 정세균 정동영 손학규 등 ‘빅3 후보’와 쇄신연대 등 비주류측의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일찍이 정 전 대표가 단일성 지도체제 옹호 입장을 밝혔고, 손 고문도 최근 이에 합류하는 움직임이다. 반면 정 고문과 박주선 최고위원 등 비주류 측에선 집단지도 체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당대회 규칙은 당권 주자뿐 아니라 최고위원 출마자들에게도 민감한 사안으로, 단일성 지도체제에 따라 최고위원 선거가 분리 실시될 경우 주류측의 ‘386’ 출신들이 약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정장선 신학용 송민순 이찬열 전혜숙 의원 등 손학규계로 분류되는 의원 12명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비상대책위원회는 공정성과 중립성을 최종적으로 책임지는 지도부로서의 권위를 상실하고 있다”면서 “현재 전준위 인원 구성으로 볼 때 민주적 절차로 지도부를 선출할 수 있을지 당원과 국민은 우려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현재 전대위 위원은 전임 지도부가 임명했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공정한 게임의 룰이 마련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이는 아예 특정 후보는 당 대표로 출마조차 하지 말라는 말과 무엇이 다르겠는가”라며 손학규계가 배제된 현재의 전준위 구성에 노골적으로 반발했다.


특히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에 대해서도 주류측 이미경 사무총장이 당연직으로 지명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조강특위는 지역위원장 선정권한을 갖고 있어 전당대회에서 투표권을 행사하는 대의원을 구성하는데도 막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혜숙 의원은 “전준위 재구성과 조강특위 강행 중단 요구가 반영되지 않을 경우 향후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khchoi@fnnews.com최경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