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중기 이슈 파이팅] 가구업체 ‘팀스’ 중소기업 위장 논란

가구업계가 연간 4000억원대에 이르는 조달시장을 놓고 최근 내홍에 휩싸이고 있다.

중소기업들에만 개방된 조달시장에 업계의 표현대로라면 '위장 중소기업' 하나가 물을 흐리고 있기 때문이다. 56%의 시장점유율로 업계 1위인 '가구업계의 삼성' 퍼시스가 내세운 중소기업 팀스와 중소 가구회사들 간의 다툼이 그것이다.

▨팀스, 위장 중소기업인가

중소기업이 조달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선 두 가지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확인'과 중소기업중앙회의 '직접 생산 확인'이 그것이다. 중앙회의 직접 생산 확인은 현장 실사를 말한다. 생산을 위한 공장과 시설, 인력 등의 유무가 주요 판단기준이다.

퍼시스로부터 지난해 12월 15일 인적분할된 팀스도 조달시장에 참여하기 위해 같은 과정을 거쳤다. 앞서 본사 소재지 관할인 충북지방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중소기업 확인을 거쳤고 지난달 26일엔 중앙회로부터 직접 생산 확인서도 받았다. 조달시장 참가 조건은 다 갖춘 셈이다.

그런데 팀스와 퍼시스가 결과적으로 같은 회사, 즉 '위장 중소기업'이라는 게 가구업계의 주장이다. 퍼시스는 조달시장에서 매년 900억∼1000억원가량의 매출을 올리는 등 공공부문에서 짭짤한 재미를 보고 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자격조건이 안 돼 조달시장에 참가할 수 없다. 자기자본 500억원 초과 또는 3년 평균 매출액 1500억원 초과 시 대기업으로 분류하는 상한기준이 내년부터 시행되기 때문이다. 퍼시스는 지난해 2656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2009년과 2008년에도 각각 2272억원, 2512억원을 기록했다. 더 이상 중소기업이 아닌 셈이다.

서울경인금속가구공업협동조합 허성회 이사장은 "퍼시스가 조달시장에 남기 위해 팀스를 내세웠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팀스는 지난 4월 말 기준으로 손동창 퍼시스 회장이 21.05%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손 회장의 부인 장미자(0.64%)씨 외에 두 딸인 손희령, 손태희씨도 0.56%씩을 보유하고 있다. 또 손 회장이 80.51%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시디즈가 7.51%, 역시 손 회장과 손태희씨가 각각 18.9%, 2.07%씩 보유하고 있는 일룸도 팀스의 지분 5%를 가지고 있다. 이외에 손 회장이 100% 지분을 보유한 바로스도 1%를, 손 회장이 이사장으로 있는 목훈재단도 1.2%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다만 퍼시스가 보유하고 있던 12.23%는 상반기에 모두 처분했다.

이처럼 지분구조만 보더라도 퍼시스와 팀스가 같은 회사라는 것이다. 두 회사의 이 같은 관계는 중기청으로부터 중소기업 확인을 받을 때도 입증됐다. 충북지방 중기청은 팀스에 확인서를 발급해주면서 관계회사 제도를 적용했다. 팀스가 제조 중소기업 기준인 자본금 80억원 미만 또는 상시근로자수 300인 미만은 충족하지만 지분구조를 볼 때 30% 이상 지분을 보유, 관계회사로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팀스의 자본금(21억원)과 근로자 수(81명)에 관계회사의 보유지분율까지 적용, 계산한 결과 팀스는 자본금 32억원, 근로자 수 133명으로 결국 중소기업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중기청의 설명이다.

▨팀스vs업계 분쟁, 봉합될까

서울경인금속가구조합과 대한가구산업연합, 한국금속가구조합 등이 주축이 된 가구산업발전비상대책위원회는 앞서 중앙행정심판위원회에 중소기업청의 팀스에 대한 중소기업 확인 취소를 위한 행정심판을 청구, 현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비대위 관계자는 "법망을 교묘하게 피해가며 위장 중소기업을 내세워 조달시장에 남으려고 하는 퍼시스의 행태에 큰 실망을 금할 수 없다"면서 "대화창구야 열어놓겠지만 뜻대로 안 될 경우 온·오프라인에서 '안티퍼시스' 운동과 궐기대회 등 강도를 더욱 높여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기청은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을 통해 대기업 계열의 동종 중소기업을 조달시장에서 퇴출시킬 수 있는 근거를 올해 중에 마련, 내년 초부터 시행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팀스 이상배 상무는 "소모적 논쟁은 가구산업 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 소송을 취하하고 업계가 모여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보자고 요청해 놓은 상태"라며 "중소기업에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기업의 발전단계인데 회사 하나 잡자고 법까지 개정한다는 것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bada@fnnews.com김승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