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200만t 파이넥스 착공..세계시장 진출 본궤도

【포항=정상균기자】 포스코가 세계 최대 파이넥스 제철소를 착공했다. 쇳물 생산 200만t 규모다. 이 정도 규모의 파이넥스 제철소를 상용화하는 것은 포스코가 세계에서 처음이다. 파이넥스는 포스코가 독자기술을 확보한 고효율 친환경 제철공법이다. 향후 파이넥스 제철공법의 해외시장 진출에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28일 포스코는 포항제철소에서 파이넥스 제3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정준양 포스코 회장, 김황식 국무총리 등 국내외 인사 500여명이 참석했다.

포스코는 파이넥스 3공장에서 생산되는 쇳물을 사용하는 4선재 공장, 스테인리스 신제강 공장도 함께 짓는다. 파이넥스 3공장 1조3000억원을 포함해 총 2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완공은 2013년 7월이다. 공사기간 25개월 동안 연 고용인원 125만명에 달한다. 중소기업과 동반성장,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 ‘글로벌철강 신기술’ 주도

200만t 파이넥스 제철소 건설은 상징성이 크다. 무엇보다 해외시장 진출의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 현재 가동중인 150만t 규모의 파이넥스 제철소로는 해외수출을 위한 필요성에 설득력이 부족했다. 하지만 200만t 규모의 파이넥스 상용화로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해외 거점지역에 제철소를 건설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

특히 포항 파이넥스 3공장이 가동되는 오는 2013년 이후엔 포스코가 인도네시아, 브라질 제철소 2기를 비롯, 인도 등에 제철소를 확장하는 시점이다. 이미 한국에서 실증된 파이넥스를 토대로 설계, 건설,운영 등을 패키지로 수출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한다. 원천기술을 갖고있는 포스코가 사업주도권을 쥐고 추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정준양 회장은 “200만t 급 파이넥스는 고로 400만∼500만t 급 고로를 대체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라며 “포스코는 200만t 파이넥스 제철소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진출도 최대 관건이다. 포스코는 현재 중국에서 충칭강철, 사강그룹과 파이넥스 제철소 진출을 놓고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날 착공식에도 충칭강철과 사강그룹 관계자들이 참석, 포스코의 파이넥스 기술력과 국가적 관심을 확인했다.

■유수 철강사도 포기한 파이넥스

파이넥스 제철공법은 포스코만 갖고 있다. 20여년 전부터 일본, 호주 유수의 선진 철강업체들이 값싼 철광석을 쓰고 오염물질을 줄이는 용광로를 대체할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줄줄이 실패했다. 수조원의 투자비와 연구개발 기간을 버티지 못한 것이다.

포스코가 파이넥스 연구개발을 시작한 것은 지난 92년. 이후 4년만인 1996년에 파일럿플랜트를 가동했다. 하지만 상용제철소 건설까진 공정 및 품질 안정성 확보 등 더 많은 연구개발이 필요했다. 포기하지 않고 7년만에 60만t 시험설비를 가동했고, 지난 2007년 2세대 파이넥스인 150만t 설비 가동에 성공했다.

4년 뒤인 올해 200만t급 착공에까지 이르러 관련 기술은 크게 진화했다. 우선 투자비(1조3000억원)는 150만t 급 수준과 같지만 쇳물 생산량은 33%정도 늘였다. 또 기존 4단 유동환원로(가루 철광석을 순수한 철성분으로 바꾸어주는 설비)를 3단으로 간소화했다.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이송하던 분철광석을 자체 발생하는 가스를 이용해 운송 투입한다. 핵심 설비인 대형 밸브류도 국산화했다. 용광로가 50만t에서 200만t으로 확대하는 데 20년 이상 걸린 것에 비하면 놀라운 진화 속도다.

■값싼 원료 쓰면서 친환경 고효율

파이넥스는 현존하는 쇳물 제조법인 고로가 아닌 차세대 공법. 원료도 고로와 다르다. 세계 철광석 매장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값싼 가루형태 철광석과 일반탄을 쓴다. 이런 특성으로 원료를 예비처리하는 코크스 제조공장과 소결공장이 필요없다. 당연히 오염물질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투자비와 생산원가도 고로보다 15%나 적게든다.

중국, 인도 등에서 파이넥스 기술 이전을 한국에 요구하는 것도 이때문이다. 철광석 자원이 풍부하지만 저품위 광석이 많아 미분탄(가루 형태의 원료)을 곧바로 쓸 수 있는 파이넥스 공법 도입이 절실한 것. 여기에다 오염물질 배출이 적은 친환경 선진기술의 외국 투자사업을 유치하겠다는 정부 정책과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skjung@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