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석학에 듣는다] 지속가능한 개발과 인류애/제프리 삭스 美 컬럼비아대 경제학 교수

[세계 석학에 듣는다] 지속가능한 개발과 인류애/제프리 삭스 美 컬럼비아대 경제학 교수

지속가능 개발이란 경제 성장이 광범위하게 공유되고 생존에 필요한 지구 자원도 보호하는 개발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지속 가능한 상황에 있지 않다. 10억명 이상이 경제발전의 뒷전에 밀려나 있고 지구 환경은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기 때문이다.

지속가능 개발을 최우선 글로벌 어젠다로 선언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응은 따라서 옳은 것이다. 과학자들은 현 상황을 인류세(Anthropocene·人類世)라고 부른다. 지구의 물리적 생물학적 변화의 주된 원인이 인류에 기인하는 지질학적 시대란 것이다.

반 사무총장의 글로벌 지속가능 패널(GSP)은 새 보고서에서 지속 가능 개발이 3개 축으로 전개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극심한 빈곤을 종식시키고 여성과 청년, 소수자 등을 포함해 모든 이가 번영을 공유하며 자연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는 지속가능 개발의 경제, 사회, 환경축 또는 더 간단하게 '3가지 기본원칙'이라고 말할 수 있다.

GSP는 세계 정상들에게 새 지속가능개발목표(SDG)를 적용할 것을 촉구해왔다. 이는 밀레니엄 개발목표(MDG) 달성 목표 시한으로 설정한 2015년 뒤 글로벌 정책 형성에 도움을 줄 것이다. MDG가 극심한 빈곤을 퇴치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SDG는 지속가능 개발 3개축 모두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물론 SDG를 설정하는 것과 달성하는 것은 매우 다른 얘기다. 가장 큰 걸림돌은 아마도 '기후변화'일 것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70억명이 살고 있고 1인당 평균 매년 4t 이상의 이산화탄소(CO2)를 대기로 뿜어내고 있다. CO2는 우리가 석탄, 석유, 가스를 태워 전기를 만들고 자동차를 운행하거나 난방을 할 때 방출된다. 인류는 연간 약 300억t의 CO2를 뿜어내는데 이는 수십년 안에 기후를 급격히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이다.

오는 2050년이면 90억명 이상이 살게 된다. 이들이 지금보다 더 풍요로워지면(따라서 1인당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면) 전세계 공해 배출량은 2배, 심하면 3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큰 딜레마다. CO2 배출을 줄여야 하지만 우리는 배출을 늘리는 쪽으로 향해가고 있다.

이 시나리오에는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우리가 전세계 공해 배출을 늘리는 길을 고수하는 한 자연의 대파괴를 부르고 수십억 인류가 가뭄, 열풍, 허리케인 등으로 고통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미 최근 수년간 엄청난 기아, 홍수, 이 밖의 기후관련 재앙을 경험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구를 파괴하는 대신 이를 보전하면서 인류, 특히 가난한 이들이 더 많은 전기와 현대적인 교통수단의 혜택을 보도록 할 수 있을까. 진실은 기술을 극적으로 개선시키지 못하는 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는 화석연료에서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갈아타는 동시에 에너지를 훨씬 더 현명하게 활용해야 한다. 이런 결정적인 개선은 틀림없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도 현실성이 있다.

일례로 자동차의 에너지 비효율성을 보자. 우리는 지금 대략 75㎏ 몸무게의 한 사람이나 소수가 타기 위해 1000~2000㎏ 교통수단을 움직이고 있다. 또 휘발유를 태워 오직 소량의 에너지만을 활용하는 내연기관을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 대부분은 열로 낭비된다.

따라서 자동차를 작고 가벼우면서 태양력과 같은 저탄소 에너지 원천을 통해 충전되는 고효율의 전기차로 대체함으로써 상당량의 CO2 방출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전기차로 전환하면 최신 정보기술(IT)이 활용 가능함으로써 스마트카로 변신시킬 수도 있다. 스마트카는 선진 정보처리 기능과 위치시스템을 활용해 자동주행이 가능할 만큼 똑똑해질 수 있다.

그러나 현 상태에서 지속 가능한 개발로 전진하는 것이 그저 기술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이는 또한 시장 유인, 정부 규제, 연구개발(R&D)에 대한 대중적 지지 등이 필요한 문제다. 그렇지만 정책과 관리보다도 더 근본적인 문제는 그 가치에 대한 도전일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공동 운명을 이해해야 하며 지속가능한 개발이 현재와 미래의 모든 인류 후손의 생활에 필요한 보편적 약속이라는 점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정리=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