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

[fn 이사람] 이현배 주민신용협동조합 전무

[fn 이사람] 이현배 주민신용협동조합 전무

"신협은 금융 수익만을 좇기보다는 사회적인 금융기관으로서 역할을 해야 합니다. 앞으로 신협이 개인을 넘어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시민주주기업으로 지역협동사회의 경제 네트워크를 만들어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를 위해 신협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도 지원이 수반됐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이현배 주민신용협동조합 전무(사진)는 지역 내 협동사회 네트워크로서 신협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

이 전무가 속한 주민신협도 지역을 기반으로 조성됐다. 지난 1979년 경기도 성남시의 주민교회 목사와 교인들이 1000원씩 모아 4만7000원을 가지고 만든 게 시작으로 1986년에 정부의 정식 인가를 받으면서 금융뿐만 아니라 의료 및 복지 사업 등을 진행해왔다.

그는 "주민신협은 생활협동조합(주민생협)에 2000만원, 의료생활협동조합에 1000만원 등을 출자한 것을 비롯해 성남주민생활관을 매입해 조합원과 지역주민들을 위한 도서실과 교육센터 등으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 신협이 은행과 협동조합 사이에서 어중간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게 안타깝다"고 했다.

신협이 은행 등 시중금융사들과 똑같은 정부 규제를 받으면서 지역 협동조합 지원에 어려움이 있고 금융수익을 좇다보니 사회적인 인식을 바꾸는 교육활동이 부족해진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이 전무는 "IMF 외환위기 이후 신협에 대해서도 일률적인 금융 정책이 적용되면서 신협이 자율성을 잃어버렸다"며 "신협은 서민금융의 역할을 할 수 있게 신협의 특수성에 맞는 금융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테면 신협이 협동조합에 금융 지원을 해줄 경우 지원 대상 협동조합이 정착하기 전 초기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게 대출 외 투자 개념의 지원도 고려해볼 만하다는 것이다. 또 지역적인 한계에 부딪히지 않게 지역신협의 공동유대를 인접 시·군·구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현실화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최근 이동 편의성으로 개인의 경제권과 생활권이 광역화되고 범위가 넓어졌다"며 "하지만 지역 신협의 공동유대는 수년 전에 규정된 후 변동이 없어 신협이 없는 지역의 경우는 이용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신협이 지역 토착적 협동조합 금융기관으로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고 신협 특수성을 발전시켜나가야 한다는 조언이다.

이 전무는 "신협이 사회를 바꾸고 사람의 인식을 바꾸어갈 운동이라는 측면에서 조합원, 임직원들에 대한 교육을 다시 하고 지역 토착적 협동조합 금융기관으로서 신협을 살려가야 한다"며 "앞으로 신협이 개인을 넘어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으로서 지역협동사회 경제 네트워크의 토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