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개성공단기업들, 정부에 강력하게 요청한 보상 해법은?

"경협보험에 가입한 기업에 대한 보상은 '장부상'이 아닌 '투자금액' 또는 '잔존가치'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50억원 가량을 개성공단에 투자한 우리 회사도 현재 장부상으론 20억원 밖에 남질 않았다. 그리고 기업들이 급한 불을 끌 수 있도록 일부라도 보험금을 먼저 지급해줘야 한다."(대화연료펌프 유동옥 회장)

"(공단 가동 중단으로)시중 자금을 활용하려고 했더니 담보가 있어야 하고 이자도 높더라. 개성공단 막으면 기업은 돈줄이 막히고 결국 회사를 닫아야 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일부 기업인들은 운전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집 등 자산을 팔기도 했다. 경협자금을 일단 풀어 기업들이 갚아야 할 원금 상환을 유예해주고 시중자금도 저리의 경협자금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국가에서 대주는 경협자금을 기업인들이 떼먹겠느냐."(아이에스레포츠 이은행 대표)

26일 서울 흑석동 중앙대학교 R&D센터 11층 회의실. 중앙대 민족통일연구소와 한반도개발협력연구소가 주관한 '개성공단 정상화와 조업중단에 따른 지원대책' 토론회 자리에서 개성공단 기업인들이 정부에 밝힌 지원 요구책들이다.

토론을 막 시작한 정오는 우리 정부가 전일 북한에 개성공단 문제 해결을 위한 당국자 회의를 제의하면서 답변 시한으로 정해놓은 마지노선이기도 했다.

이날 모인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운명이 남·북 양측 정부가 말하는 '중대조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는 탓에 세시간 넘게 진행된 토론회는 시종일관 상당히 무거운 분위기로 진행됐다.

기업인들 사이에선 현재 개성공단 중단 사태의 과오를 우리측 정부에 돌리는 움직임도 거셌다.

에스엔지 정기섭 대표는 "북한은 (개성공단을 열면서)실제 기대했던 효과가 20분의 1 밖에 거둘 수 없었던 것에 대해 늘 입주기업에게 아쉬움을 전했다. 우리의 경제력에 비해 40분의 1 밖에 되지 않는 북한과 말싸움, 기싸움을 할 이유가 없다. 개성공단에 대해 우리측 정부가 과연 옳바르게 대처한 것인지 되돌아봐야 한다. 그리고 이런 사태에 대한 책임의 절반 가량은 남쪽 정부에 있다. 입주기업들은 개성공단이 이처럼 된 것에 대해 정부에게 응분의 책임을 지라고 요구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멈췄던 개성공단내 기계가 다시 돌아간다고 해도 의욕이 저하되고 신뢰가 떨어진 탓에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도 의문인 모습이다. 녹색섬유 박용만 대표는 "지금까지 개성단의 리스크는 모두 입주기업들이 감당했다. 두 개의 나라와 두 개의 관리본부가 있는 개성공단이 끊임없이 추가적인 비용을 요구하다보니 기업 입장에선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호소했다.

bada@fnnews.com 김승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