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희남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국장은 자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한 거시건전성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아시아가 미국의 양적완화(QE) 축소(테이퍼링)에 취약해 역내 국가 위기 시 자금을 제공하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규모를 더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자본시장연구원이 21일 ADB,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와 공동으로 서울 소공로 조선호텔에서 개최한 '아시아 자본시장 발전과 통합에 따른 도전과 기회' 국제콘퍼런스에서다.
최 국장은 이날 "테이퍼링으로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채권에서 주식으로 자금이동이 늘어난다"면서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아시아 비중이 높아서 CMIM 등 공조를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ADB는 CMIM 규모를 더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1년 마닐라에서 열린 ADB연례회의에서 CMIM 규모를 1200억달러에서 2400억달러로 늘린 바 있다.
이완 아지즈 ADB 국장은 "아세안+3(한·중·일)의 외환보유고는 전체의 5%에도 미치지 못한다"면서 "CMIM 활용이 미진하고 규모가 적어 대부분의 지원 구제책이 국제통화기금(IMF)과 연동돼 있다"고 말했다.
현재 아시아 국가 금융위기 시 IMF가 70%의 자금을 지원하고 CMIM이 30%를 제공한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에도 러시아 위기, 멕시코 데킬라 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등 위기가 지속되고 있어 아시아 자본시장을 발전·통합시켜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이완 국장은 "아시아 정책 당국자들은 위기발생과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금융안전망을 갖춰가고 있다"면서 "1997년 이후 은행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건전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고 금융의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테이퍼링을 언급해 아시아의 많은 시장이 충격을 받았다. 아시아 자본시장이 해외 자본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이완 국장은 "자본시장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자금뿐 아니라 자국의 투자자도 중요하다"면서 "지난해 아세안+3 회의에서 자국 투자자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고 강조했다.
아시아지역은 1997년 이후 채권 등 자본시장을 발전시키면서 금융 안전망을 높이고 있다.
2000년 초 미국이 금리를 급격히 인하해 많은 자본이 아시아 은행들에 유입되고 대출이 부동산, 개인부채로 흘러가면서 버블이 형성됐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