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중소·중견기업 지원’ 4400억 규모 성장사다리 3개 펀드 조성

정부가 44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중소기업들이 추진하는 인수·합병(M&A)를 지원하거나 중소기업들의 지적재산권을 사들일 계획이다. 이를 위한 M&A펀드와 지식재산(IP)펀드, 코넥스펀드가 올 하반기에 출범한다.

금융위원회 성장사다리펀드 사무국은 27일 성장사다리펀드 하위펀드인 M&A, IP, 코넥스펀드 결성을 올해 하반기까지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각 펀드의 규모는 M&A펀드 3000억원, IP펀드 1000억원, 코넥스펀드 400억원으로 총 4400억원 규모다.

우선 M&A펀드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M&A에 공동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기업이 M&A를 통해 신기술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중소·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펀드 규모는 최소 3000억원이 될 예정이다. 성장사다리펀드가 1500억원을 출자하고, 인수기업과 민간투자자가 매칭 투자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보조한다. 금융당국은 M&A펀드 2개를 조성하고, 시장 수요 등을 고려해 하반기에 2차 M&A 펀드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IP펀드는 중소·중견기업이 보유한 지적재산권을 사들이거나 보유 기업에 지분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특허 매입과 라이센싱 지원, 유동화 등을 통해 기업들의 IP 활용도를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성장사다리펀드가 IP펀드에 500억원을 출자하고, 민간투자자가 매칭 투자하면 펀드 규모는 1000억원 수준이 된다. 여기서 성장사다리펀드는 출자약정액의 20% 가량을 후순위로 참여한다. 펀드는 2개 이내로 조성하고, 운용사도 2개사 이내로 선정 예정이다.

코넥스펀드는 코넥스시장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이나 이미 상장된 기업 주식에 주로 투자한다. 성장사다리펀드가 250억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을 매칭해 4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출자약정 금액의 60% 이상을 코넥스 상장 예비기업 발굴투자와 코넥스 시장 상장기업에 투자하고 상장 예비기업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계약서 작성시 상장 유도조항을 포함키로 했다.
펀드 조성은 운용사 모집 공고와 선정, 민간투자자 모집을 거쳐 올해 하반기에 완료된다.

성장사다리펀드 사무국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안으로 현재 조성 중인 스타트업펀드, 재기지원펀드에 대한 2차 펀드 조성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성장사다리펀드는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난해 8월 출범했으며 이번 달까지 민간투자자 매칭 등을 통해 펀드 자금 1조9000억원이 조성됐다. courage@fnnews.com 전용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