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 내 전 세계 블록버스트 영화 관람객 10명 중 1명은 4DX 영화를 보는 시대가 될 것입니다."
CGV 4D플렉스 최병환 대표는 최근 4DX 체험 행사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4DX는 지난 2009년 CJ CGV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오감 체험 특별관이다. 특수 장비가 부착된 의자에 앉으면 화면을 따라 몸이 상하좌우로 움직인다. 어디선가 바람이 불어오고, 물방울이 터지고, 향긋한 냄새가 코를 자극한다. 티켓값은 일반관보다 두 배가량 비싸지만 한번 경험한 이들은 다시 찾는 경향이 있다. 국내 2D 영화 좌석 점유율이 30%선인 반면 4DX 좌석점유율은 80%에 이른다.
이 4DX의 행보가 최근 부쩍 빨라지면서 이 영화관을 집중 투자해온 CJ CGV의 전망에도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4DX는 2010년 초까지만 해도 CGV 강변.상암.용산.영등포 등 네 곳에 불과했지만, 2011년 27개관, 지난해 87개관으로 증가했다. 올해 7월 현재 109개관, 연말엔 180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최 대표는 "내년에는 300개관까지 확대할 계획"이라며 "국내보다 해외시장에 더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CGV는 중국, 멕시코, 브라질, 미국, 태국 등 전 세계 26개국에 4DX 시설을 구축했다. 중국에서만 18개관을 운영 중이며 올 하반기에 15개 관을 추가로 오픈한다. 지난달 말 문을 연 미국 로스앤젤레스 4DX에선 연일 만석을 기록했다. 서비스 영화도 크게 늘었다. 2010년 31편이었던 것이 지난해 58편, 올해는 60편 이상이 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4D플렉스 에디터들의 작업은 정교하다. 일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콘텐츠를 찾는 일에서 시작한다.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가 작업한 영화가 대체로 여기에 해당된다. 작품당 5명이 한 조가 된 에디터들은 최소 영화 개봉 16일 전부터 사전 시사를 통해 4DX 효과를 기록한다.
어느 지점에서 물을 뿌리고 의자를 움직일 것인지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매번 100회 이상 영화를 관람한다. 이 과정을 거쳐 영화 속 그림 같은 장면은 현실의 오감으로 구현된다. 최진숙 기자※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