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시행되면서 대형 대리점 한 곳이 수십개의 판매점을 운영하면서 거액의 불법 지원금을 굴리는 문어발식 기업형 유통망이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동통신 회사의 지원금이 공시되면서 소비자들이 굳이 용산 등 판매점들이 모여 있는 집단상가를 찾을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대신 동네의 작은 대리점에서도 같은 금액의 공시 지원금을 받으면서 안심하고 휴대폰을 살 수 있게 된 것.
휴대폰 유통구조가 달라지면서 거액의 불법 지원금의 형성 기반이던 대형 대리점들이 점차 축소되고, 자영업자들의 휴대폰 유통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불법보조금 줄어 자영업자 진입장벽 낮아져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이 시행 이후, 통신사들이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이나 대리점들 보다는 판매점을 위주로 유통점 수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이동통신 3사 직영점은 2014년 12월 8424개에서 2015년 6월 현재 9014개로 590개(7%) 늘었다.
반면 판매점 수는 같은기간 3만2289개에서 2만8752개로 3537개(11%) 줄어들었다. 한 때 3만7000여개에 달해 전국 편의점 보다 많은 수를 기록했던 휴대폰 유통망이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
공시지원금제도가 생기고 불법보조금 경쟁이 줄면서 판매점도 존재 의미를 잃어가는 것이다. 사실 판매점들은 직접 이동통신 회사와 전산망을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대형 대리점과 계약관계를 통해 가입자를 모집하는 구조였다. 이를테면 대형 대리점의 이동식 영업창구 같은 의미다.
단통법 시행 전에는 불법보조금으로 타사 소비자를 끌어오는 것이 마케팅의 주된 방법이었기 때문에 대형 대리점이 100여개 이상 판매점 거느리고 운용해 왔다. 그러나 단통법 시행 후 불법보조금 살포가 사실상 불가능해지고, 공시 지원금 제도로 소비자들이 판매점 이곳 저곳을 둘러볼 이유가 없어 대형 대리점과 팜매점 사이의 하청관계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 회사와 계약을 맺은 건전한 자영업자의 유통시장 진입 장벽이 사라졌다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과거 불법 보조금으로 쓸 수 있는 현금동원력이 있어야 휴대폰 유통을 할 수 있었지만, 단통법 시행 후 유통에 필요한 적절한 금액으로 대리점 사업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출혈경쟁 줄고, 소비자혜택 늘고
보조금 경쟁이 치열했던 단통법 시행 전 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유통망은 전국 주유소나 편의점 수보다 많았다. 지난 2012년의 경우 전국의 편의점 수는 2만 4822개로 집계됐으며 통신사 유통망은 2만 7846개로 나타났다. 다만 통신사 유통 판매점의 경우 집계 되지 않은 수치도 상당해 이보다 더 높은 수치로 추정된다.
이동통신 유통망이 이처럼 난립했던 이유는 통신사들이 직영점이나 대리점이 관리하는 판매점은 정부의 감독이 허술하단 점을 이용해 불법보조금(판매수수료)을 과다하게 지급해 경쟁사의 가입자를 뺏어오는데 활용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대부분의 판매점들은 보조금을 늘린다는 점을 노려 멀쩡하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새 휴대폰을 미끼로 내세우며 번호이동을 유도한 것. 이렇다보니 이동통신 회사들은 막대한 금액의 마케팅비용을 쏟아부으면서도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혜택보다는 유통점에 넘겨주는 비용이 더 많았던 게 사실이다.
■체험형 유통망 뜬다
단통법 시행 후 공시지원금이 생기고 불법보조금 살포가 확연히 줄어들면서 유통망 수가 줄어들고 서비스도 차별화하는 등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단통법이 시행된 후인 올해 초부터 본격적으로 직영점 혹은 대리점을 프리미엄화하고, 체험이 가능한 매장을 만드는 등 유통망 개선작업에 착수했다.
SK텔레콤은 서비스나 제품을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리미엄 매장을 지난해 12월 서울 강남점, 안양 범계역점 등 5개소를 시작으로 현재 26여개소가 운영 중이다. KT는 체험과 더불어 '동네 매장 증설'에 중점을 둔 유통망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KT는 동네 매장을 본격 확대하고 있다.
LG 유플러스도 아이폰6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유통망 71여 곳에 도입한데 이어 앱세서리를 체험할 수 있는 플래그십 매장과 사물인터넷(IoT) 서비스를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매장도 문을 열었다.
이처럼 이통사들이 단통법 이후 '체험'을 앞세운 유통망을 구축하면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불법 보조금 경쟁이 줄어들고, 서비스 차별화에 촛점을 맞춘 새로운 경젱체제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