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자본시장연구원 국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조사.. 가계부채 증가 속도 지나치게 빨라 위험

올 해 1분기 기준 84.4%.. 美 77.1% 日 65.9% 추월

자본시장연구원 국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조사.. 가계부채 증가 속도 지나치게 빨라 위험

한국 가계부채 위험이 주요국보다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이미 미국과 일본을 뛰어넘어 신흥국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수준이다.

향후 미국 금리인상 시 한국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여 경제불안의 뇌관이 될 것이란 관측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국제결제은행(BIS) 및 한국은행, 자본시장연구원 등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올 1.4분기 기준 84.4%에 달한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6년간 꾸준히 증가해 2009년 말 대비 7.8% 상승했다. 2.4분기 기준 국내 가계대출 잔액은 1130조원(전년 대비 9.13% 증가)이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BIS 조사대상 39개국 중 8번째다. 또 신흥국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흥국 가운데 태국(69.7%), 말레이시아(69.6%), 중국(37.0%)이 한국의 뒤를 잇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제규모 대비 가계부채 비율과 증가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우리보다 기초체력이 탄탄한 미국과 일본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77.1%, 65.9%에 그친다.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2012~2013년 가계대출 증가폭은 평균 5.5% 수준을 유지했으나 저금리 기조가 본격화된 지난해부터 증가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으로는 저금리 기조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확대가 먼저 꼽힌다. 2013년 이후 주택 실수요자에게 대출 문턱을 낮추는 정책이 잇따른 결과다.

그나마 부채 상환 여력이 있다고 보는 소득 상위 4~5분위의 가계부채 비중이 69.7%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위안이다.

문제는 금리 인상 시 찾아올 후폭풍이다. 자본시장연구원 표영선 연구원은 "잔액 규모가 크고 증가율이 높기 때문에 금리가 상승할 경우 대출상환 및 이자비용 상으로 가계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계대출과 더불어 개인사업자의 은행대출 잔액도 지난 8월말 기준 229조7000억원으로 지난해말 보다 13.7%(20조4000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 수는 줄고 있는데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이 늘고 있어, 일부분 생활자금으로 쓰였을 가능성도 높아져 더욱 암울해지고 있다.


정부도 이같은 위험에 대비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 7월 가계부채 종합 관리방안을 발표하며 고정금리.분할상환 위주의 대출구조 정착을 유도하고 있다. 그 결과 주담보 대출 증가폭은 1.4분기 469조9000억원에서 2.4분기 466.9조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