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국가데이터허브 만들어 빅데이터 산업 육성한다

내년 하반기 중 민간과 공공에 흩어져 있던 데이터를 한데 모아 빅데이터로 분석하기 쉽도록 제공하는 국가 데이터 허브가 마련된다.

여러 데이터를 융합해 분석하기 편하도록 데이터를 모아놓는 것인데, 이를 통해 국내 빅데이터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보안등 연관산업이 화성화될 수 있는 교두보로도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또 현재 삼성SDS, LG CNS, SK(주) C&C 등 대기업에는 막혀있는 공공분야 소프트웨어(SW) 사업에 대기업 IT서비스업체들의 참여 기회를 넓혀주기로 했다. 빅데이터나 클라우드 같은 신 산업 분야에는 대기업의 참여를 허용하는 것인데, 대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를 통해 클라우드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대기업 IT서비스 업체들도 공공기관 신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국내 SW 산업 투자 확대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데이터허브로 민간·공공 데이터 융합
5일 기획재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서비스경제발전전략'을 확정하고, 내년 하반기에 국가 데이터 허브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국가 데이터 허브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빅데이터센터와 공공데이터활용지원센터에 데이터 융합기능을 추가해 데이터 허브로 확대하는 것이다.

데이터 허브는 의료·법률·특허 등 활용도가 높은 분야의 데이터를 발굴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분석이 용이하도록 가공해 제공한다. 또 공공 및 민간데이터의 소재 및 목록을 담은 데이터 지도를 작성해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활용을 확산시키기 위해 올 하반기부터는 빅데이터 관련 선도사업도 실시한다.

정부는 의료, 콘텐츠, 미디어, 금융, 물류 등 각 분야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우수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할 수 있도록 돕고, 상용화를 지원한다.

이렇게 되면 각종 데이터의 활용범위도 넓어진다. 예를 들어 개인을 특정할 수 없도록 비식별 조치된 스마트폰 위치정보와 카드사의 매출기록을 융합하면 연령별 소비성향이나 지역별로 인기 상품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각각의 데이터들이 서로 융합하지 못해 데이터 활용도가 떨어졌던 것을 보완한 조치다.

■공공SW 사업에 대기업 참여 허용
4차산업 혁명의 핵심인 ICBM(사물인터넷·클라우드 컴퓨팅·빅데이터·모바일)에 대한 민간투자를 확대하고, 전자정부시스템 수출 증대를 위해 대기업이 참여 가능한 예외사업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주요 내용으로 한 SW서비스 분야의 발전전략도 마련됐다.

앞서 대기업IT서비스업체들은 공공SW사업 참여에 제한을 받아왔지만 이들 없이는 중소·중견 IT업체가 독립적으로 ICBM 시장을 창출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IT서비스 업계관계자는 "클라우드나 빅데이터의 경우 대규모 장비 투자가 이뤄질 필요가 있고 사물인터넷(IoT)은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등 각종 신기술이 총체적으로 결합돼야 제대로 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면서 "이에 정부가 대기업의 참여 확대, 관련산업을 키운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정부는 SW 시장에서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했다. 대기업 참여가능 사업에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 검토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방안을 검토항목에 포함시키기로 한 것이다. 이를 통해 대중소기업간 공동수급, 성과공유 등이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클라우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에 대한 성과평과를 거쳐, 지자체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정보자원의 중요도에 따라 등급체계를 구분하고, 2단계와 3급 등급의 정보에는 민간 클라우드의 이용이 허용될 전망이다.

IT서비스 업계관계자는 "공공기관이 2단계와 3단계의 정보에는 민간 클라우드를 쓰겠다는 것은 일단 업계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민간 클라우드지만 별도의 공간에서 운영하도록하면 결국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어느정도 수준까지 완화하는 지 추후 진행되는 사항을 지켜봐야 알 것"이라고 평가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박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