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송하진 전북 도지사, "전북도 식품 수출 전진기지 역할과 함께 음식·문화 중심지 도약 추진"

관련종목▶

- 식품산업 휴수동행(携手同行)...여야, 정부, 지자체, 기업 등 전북 한자리에

경제계가 여야, 정부, 지자체, 학계와 함께 식품산업 발전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전라북도는 공동으로 26일 전북도청에서 “‘신(新)나는 대한민국’ 한국의 미래 먹거리! 식품산업 발전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경련이 제안한 한국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신산업 공급 3대 분야의 후속조치로 지자체와 함께 하는 첫번째 토론회다.

전라북도 송하진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삼락농정(三樂農政)을 도정 핵심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농생명․식품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며 “전라북도에 집적화된 국가식품클러스터, 민간육종연구단지, 전북혁신도시내 농총진흥청 및 산하기관과 한국식품연구원 등 농생명 산업연구 기반을 활용, 전라북도가 식품 수출 전진기지로써의 역할과 함께 음식·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기조 발표를 맡은 전경련 이승철 부회장은 “식품은 소비자가 직접 경험해봐야 좋은지 나쁜지를 아는 경험재로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전북도가 우리 식품산업의 신뢰 인프라 구축 역할에 앞장서 주길 당부했다. 이어 “세계 식품시장의 20%를 차지하는 중국은 1000조원의 시장규모와 프리미엄 식품 수요 증가로 우리 식품산업에 높은 기회를 제공 할 것”이라며 “한국은 신선식품 수출이 가능한 지리적 이점, 한류로 인한 한국 제품 선호, 청정 프리미엄 제품을 통한 소비자 신뢰 구축을 통해 중국과 글로벌 식품시장에 진출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현재 조성중인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와 함께 가칭 ‘전북농업특구(JBAZ)' 지정을 제안했다. JBAZ 내에는 바이오 패트롤(Bio Patrol) 도입을 통해 농약 반입 통제, 유기농 확인, 병충해 예방 등 농산물 생산단계부터 신뢰 활동을 강화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또한 식품산업에 대한 전통산업·내수산업이라는 인식을 첨단, 미래 수출산업으로 전환할 것을 주문하고 세계인을 상대로 신뢰 마케팅을 위해, 우리나라의 독특한 식문화인 음식 효능을 집대성 한 한식보감(韓食寶鑑), 그림으로 한식을 소개하는 한식도감(韓食圖鑑) 등을 외국어 버전을 포함해 제작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행사를 주최한 송하진 전라북도지사와 전경련 이승철 부회장, 전북지역 국민의당 조배숙 의원, 새누리 정운천 의원, 더민주 안호영 의원 등 여야 국회의원, 농림축산식품부 김경규 식품산업정책관, 하림 등 식품업계, 관련 연구기관 및 학계 관계자 100여명이 모여 미래 먹거리 식품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한편 전경련과 전라북도는 토론회 내용을 바탕으로 식품산업 발전을 위해 제도 개선 등 다양한 식품산업 육성시책을 마련하고 식품산업 인프라 확충, 국가식품클러스터 투자유치 활성화에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sijeon@fnnews.com 전선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