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이동섭 "국내 게임 점령한 '오버워치', 한국 유저 무시한 처사 잇따라"


이동섭 "국내 게임 점령한 '오버워치', 한국 유저 무시한 처사 잇따라"
오버워치
이동섭 "국내 게임 점령한 '오버워치', 한국 유저 무시한 처사 잇따라"
국민의당 이동섭 의원

국내 온라인게임 시장의 절반 이상이 외산게임에 점령당한 가운데 블리자드의 1인칭 슈팅게임(FPS) '오버워치'의 서비스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리자드의 일방적인 서비스 전개는 여전해 국내 유저들의 불만도 가중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국민의당 이동섭 의원에 따르면 오버워치의 네트워크 이상 문제인 '튕김 현상'이 지난 7월말 부터 본격화된 이후 30차례 이상 해당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이에 대한 불만을 담은 게시물이 각종 커뮤니티에서만 3000건에 달할 정도라는 설명이다.

'다음 아고라 청원','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민원 접수 운동'으로까지 확대되고 있고 이동섭 의원실에서 콘텐츠진흥원을 통한 확인 결과,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에 수십 건의 오버워치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

콘텐츠산업진흥법 제28조 제1항과 이에 따른 콘텐츠이용자보호지침 제20조에는 서버다운, 기술적 오류에 대한 예방책과 피해발생사실을 고지하도록 했지만 블리자드 측은 문제가 발생한지 한 달 반이 넘은 최근에서야 이 사실을 공지했다.

그러나 전용 네트워크 회선 전환 완료 예정인 10월 중순까지는 계속 튕김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밝히고 있고 국내 유저들에 대한 보상 내용은 없다는 지적이다.

이동섭 의원은 "지난 5월 출시 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오버워치가 유료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튕김'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며 "국내 게임 유저들에게 보상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것은 한국 소비자를 우롱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특히 이 의원은 "한국 시장을 이끌고 있는 외산 게임들이 우리 게이머들을 홀대하고 역차별하는 것은 절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특히 외산 게임사들은 한국에서 연간 수천억 원의 돈을 벌면서도 한국 게임유저들에게 그에 합당한 대우를 하지 않고 소위'호갱'취급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역차별의 근거로는 아시아 서버만 낮은 틱레이트가 꼽혔다.

현재 유럽, 미국, 아시아의 서버를 운영 중인 오버워치는 아시아 서버의 틱레이트를 21Hz로 유럽과 북미의 60Hz의 3분의 1수준에서 운영하고 있다.

즉, 유럽과 북미 이용자들이 1초에 60번의 게임 변화를 감지할 때, 우리나라 게이머들은 1초에 20번의 변화만 감지할 수 밖에 없다.
낮은 틱레이트가 게임 타격과 판정에 중대하게 불리한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역차별이란 것이다.

이와 관련 블리자드 측은 "높은 틱레이트 적용을 위한 작업을 진행중"이란 입장만 밝힐 뿐 구체적 대응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의원은 "외산 게임사의 '막무가내식'게임 운영과 우리나라 이용자 차별이 극에 달했다"며 "외산 게임사들이 우리나라 이용자들에게 적절한 보상책을 제공하기를 강력하게 권고하고 차별 방지를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