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 LG(003550),
- 현대차(005380),
- 한국조선해양(009540),
- 삼성중공업(010140),
- 동서(026960),
- SK(034730),
- 대우조선해양(042660),
- 오공(045060),
- LG전자(066570),
- SK이노베이션(096770),
- 대성산업(128820)
남부 산업시설 등 강타.. 현대차 울산공장 물 고여
1,2공장 생산라인 스톱.. 거제조선소 실외작업 중지
옥포조선소 일대 정전도.. 유화업계 항만 운영 멈춰
#. 5일 현대차 울산 1.2공장은 긴박한 오전을 보냈다. 울산지역이 태풍 '차바'에 직격탄을 맞아 공장 바닥에 물이 유입되면서 현장 관리자 등 50여명이 긴급하게 직원들을 대피시켰다. 1.2공장 가동은 오전 11시를 기해 전면 중단됐다. 문제는 차량이 수천대 세워진 야적장이었다. 긴급하게 투입된 직원들이 군사작전을 방불케 하는 일사불란한 대응으로 단 몇 시간 만에 대부분 이동조치를 완료했다.
태풍 차바가 울산, 창원 등 수출 전진기지의 주요 산업현장을 강타했다. 일부 업체는 생산작업이 올스톱됐다. 대내외 악조건으로 수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진, 파업에 이어 역대급 태풍으로 유무형의 손실이 늘면서 수출전선에 초비상이 걸렸다. 수출기업들이 파업 리스크와 천재지변을 이겨내야 하는 이중고를 겪으면서 올해 수출전망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이날 역대급 태풍 차바가 제주도에서 경남권으로 북상, 도시 전역을 휩쓸면서 이 지역에 생산기지를 둔 기업들을 초긴장 상태로 몰아넣었다.
현대차 울산공장은 바닥에 물이 얕게 고이면서 1·2 공장 생산라인이 멈췄다. 5000여대 규모의 야적장에서도 차를 빼기 위해 비상이 걸렸다. 수백명이 야적장에 투입돼 차량을 고지대로 옮겨 피해는 수십대 침수에 그쳤다. 다만 공장 가동까지 하루 이상 걸릴 것으로 보여 태풍으로 인한 생산손실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공장에서 물을 빼고, 기계 상태를 전수 확인한 후 안전점검을 하기까지 시간이 다소 걸려 이르면 하루 뒤인 6일쯤 1·2공장 모두 정상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 창원공장은 침수에 대비해 이날 오전 10시를 전후해 일부 생산라인 가동을 1시간가량 중단했다.
태풍 영향으로 부산 해운대구에 위치한 '해운대 마린시티'가 침수피해를 입었으나 다행히 부산 영도에 위치한 조선소들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진중공업 관계자는 "오전에 강풍이 불었으나 잠잠해진 상태"라며 "강풍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는 없으며 현재 정상적으로 조선소가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와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는 실외작업을 중지했다. 특히 송전탑 문제로 거제 옥포동, 장승포, 아주동 등 대우조선해양 일대가 정전되면서 옥포조선소 직원들은 조기 귀가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야드 일부가 정전이 되면 자가발전을 통해 조업이 가능하지만 이번처럼 전체가 정전이 되면 실내작업조차도 불가능하다"며 "게다가 직원들 집도 침수피해가 있어 조기 퇴근토록 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도 오전에 작업을 중단했다.
정유.화학 업계는 기상 악화로 원자재 및 제품 수출입을 위한 항만 운영을 중단했다. 울산CLX 내부에 수출입 전용항만을 보유한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수출입 물량을 운반하는 선박들이 현재 항만에 들어오지 못하고 있다"며 "현재 한두 척가량 선박들이 안전을 위해 멀찌감치 떨어진 해상에서 대기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다만 울산공장은 큰 피해 없이 현재 정상가동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 울산 남구 여천동과 온산 등 석유화학공단 입주업체들과 매곡산단, 효문공단 등 소규모 공단에도 침수피해가 잇달았다.
울산의 부경ENG와 아이에스하이텍 등은 공장 침수로 조업중단은 물론 일부 직원이 한때 고립되기도 했다. 또한 대성산업, 오공본드 울산사무소, 동서케미칼 공장 등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해 직원들이 지붕으로 대피하는 등 태풍 차바가 경남권 산업현장을 휩쓸고 지나갔다.
부산과 경남 동부지역 건설현장도 태풍으로 인한 붕괴사고는 없었지만 일부 현장은 침수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는 등 피해를 입었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김기열 안승현 최갑천 안태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