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성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장은 29일 서울 청계천로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2017 콘텐츠산업 주요정책’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4차산업과 1인창작·콘텐츠 산업이 앞으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새정부도 지속적으로 콘텐츠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제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우성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산업실장은 29일 서울 청계천로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2017 콘텐츠산업 주요정책’ 간담회에서 “콘텐츠산업의 환경변화가 법이 못따라갈 정도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 정책변화의 대응속도를 높이는 것을 과제로 삼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실장은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디지털기술이 발전할수록 콘텐츠의 질은 높아지고 콘텐츠 창작도 급격하게 발전할 것”이라며 “관련업계와 전문가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듣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당국의 한한령(限韓令) 이후 국내콘텐츠 산업의 정부지원이 시원치 못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어 피해신고센터를 운영해 업계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실장은 “청년들의 일자리창출과 함께 디지털 등 콘텐츠 정책의 일원화가 다음 정부의 과제라고 생각한다. 지속적으로 콘텐츠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제도적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콘텐츠산업은 10여년동안 매년 17% 이상 성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책·환경·제도가 어떻게 나아가야 될 것인지가 중요하다.
수많은 콘텐츠산업계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콘텐츠산업 비전 정책 토론회 등 각종 포럼과 세미나를 기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4차산업의 핵심으로 시장성·수출 가능성이 높은 VR콘텐츠에 대해 기획, 제작, 유통 등 전 단계를 원스톱 지원해 대표 성공모델로 창출하겠다”며 “차기 정부도 콘텐츠산업이 주요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선 △콘텐츠기업 특화 금융지원 △문화기술 연구·개발(R&D) 지원 △VR·AR 등 뉴콘텐츠 발굴·육성 △영화산업 지속성장 생태계 조성 △중소기업 대상 게임 콘텐츠 개발비 지원 사업 △저작물 이용·유통 활성화로 자유로운 콘텐츠창작환경 조성 △해외에서의 우리 저작권 보호 강화 △4차 산업혁명 시대, 융합·혁신의 미디어서비스 등 2017년도 콘텐츠산업 주요정책을 발표했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