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구역 제3호묘 유물출토상태(마구류)
사적 제79호인 경상북도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6세기 대가야의 대외교류를 짐작하는 유물이 확인됐다. 또 대가야의 전성기인 5세기 중엽부터 신라에 병합된 6세기 말경까지 조성된 고분 74기를 비롯해 모두 89기의 유구가 확인됐다.
15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대가야 지배계층의 집단무덤으로 지난해 6월부터 문화재청 문화재보수정비 국고보조사업으로 고분군의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가 시작됐다.
이번에 대외교류 유물이 발견된 곳은 A구역의 제2호 횡구식석실묘로 이곳에서 금동제 관모와 둥근고리자루큰칼, 말방울, 철제 갑옷편 등 중요 유물이 출토됐다. 특히 금동제 관모는 백제 관모와 형태적으로 연결돼 양국 간 제작기술이 교류됐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A구역 제2호묘에서 출토된 삼엽문 둥근고리자루큰칼은 인접한 지산동 제45호분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한데 이러한 형태는 주로 신라지역에서 출토된 사례가 많아 신라와 제작기술을 교류했음을 유추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발굴을 통해 대가야 무사들이 착용하고 사용했을 철제투구와 마구 또한 출토됐다. 특히 등자, 재갈, 말안장, 말등 기꽂이 등의 다양한 마구류가 확인됐는데 이 중 말등 기꽂이는 유일하게 지산동 518호분에서 출토된 사례가 있으며 고구려 벽화고분인 통구12호분에 보이는 개마무사의 말 등에 달린 꾸불꾸불한 기꽂이의 모양과 흡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철제무기와 마구류는 완전무장한 대가야의 기마무사 모습을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지산동 고분군에서 기존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새로운 순장 형식의 묘제도 확인됐다. 지산동 고분군은 구덩식돌덧널무덤에 여러 명을 순장했지만 이번에 발견된 고분에서는 무덤의 긴 방향을 등고선 방향으로 주곽이 설치되고 나란히 순장곽 1기를 놓였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오는 16일 오후 1시 30분에 발굴현장에서 열리는 설명회를 통해 공개된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