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무해성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세면, 세제류 등 생활용품에서도 질 좋은 해외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G9에 따르면 올해 들어 1월부터 4월까지 해외직구 생활용품 판매량이 전년동기 대비 157%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는 바스솔트(350%)와 바디클렌져(240%)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이어 △치약(224%) △칫솔(145%) △샴푸·린스(44%) △비누(16%) 등의 순이었다.
세제류의 경우 욕실주방세정제 판매가 944% 늘었다. 유리세정제(567%), 액체세제(430%), 섬유유연제(110%) 등 전반적인 해외직구 생활용품 구매가 크게 증가했다.
G9 글로벌팀 신현호팀장은 "과거 직구의 목적이 고가의 물품을 저렴하게 구매하는데 있었다면 최근에는 생활용품도 질이 좋고 가성비가 우수한 상품을 골라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해외여행 일반화 등으로 국외 생활용품이 친숙해진데다 온라인쇼핑을 통해 보다 간편한 직구가 가능해진 점도 한 이유"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G9는 해외직구상품 가격에 관부가세와 해외배송비를 전부 포함시켜 가격을 명료화했다. 추가비용을 고려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해외직구 제품도 직관적인 쇼핑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매번 입력해야 했던 개인통관고유번호 입력 절차도 최초 1회만 입력하도록 바꿨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