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영구채 조기상환 앞둔 4곳, 상환후 재무상태 악화 위기

올해 조기상환 이후 부채비율 최대 7000%

올해 영구채(신종자본증권)를 조기상환해야 하는 회사 중 4개사의 재무상태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A사의 조기상환예정액은 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 302%에서 조기상환 후에는 709%로 껑충 뛰어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B사(5306억원)는 부채비율이 557%에서 665%로, C사(534억원)는 2517%에서 3714%로, D사(3600억원)는 988%에서 7092%로 치솟는다.

금감원은 대부분이 조기상환 자금을 회사채 발행으로 조달하고 있어 재무구조가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차환자금을 회사채가 아닌 영구채로 조달할 경우 재무구조는 유지되나 실질적인 재무상태가 개선되지 않을 소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통상 기관투자자 대부분은 발행회사가 나중에 콜옵션을 행사할 것이라는 전제 아래 영구채에 투자한다. 영구채가 '금리가 높은 5년 만기 채권'으로 인식되는 이유다.

콜옵션(조기상환권리)을 행사하지 않으면 금리 낮아져 조기상환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항의할 수도 있다. 기업의 재무상태 신뢰도에 의심도 늘어난다. 영구채를 차환하는 것은 신용도가 악화된 회사에 부담이다. 채권을 발행한 2013년보다 신용도가 악화돼 높은 금리를 감수해야 한다.

영구채는 2012년 처음으로 발행돼 지난해까지 44개사가 12조원(52건)을 발행했다. 국내 발행은 9조7000억원, 해외는 2조3000억원 수준이다. 국내는 모두 사모 발행이다. 2013년 영구채를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한 이후 발행이 급증했으나 2016년 이후 금리가 상승세에 접어들면서 발행건수가 줄었다.


올해 조기상환 규모는 3조6275억원(전체 발행액의 30.2%)으로 전년(1조2580억원) 대비 크게 늘었다. 2013년 대규모 발행분의 조기상환시점(5년)이 도래해서다. 지난해 말까지 1조1000억원이 상환돼 잔액은 10조9000억원(40개사·46건)이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