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에서 장애인들과 지역사회의 조화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장애인자립생활주택, 직업훈련센터 등은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들에게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지역주민들에겐 혐오시설로 받아들여지고 거친 반대에 부딪혀 건립에 큰 어려움을 겪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접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생활, 교육, 문화향유 등이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인해 차별받아서는 안된다. 관광도 마찬가지다. 유엔에서 관광을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보장해야 한다고 선언한 때는 무려 70년 전인 1948년이다.
한국관광공사의 '열린 관광지' 조성사업은 장애인뿐 아니라 노약자, 영.유아 동반가족 등을 포함한 모든 관광객이 이동의 불편이나 활동의 제약 없이 즐길 수 있는 '장애물 없는(Barrier free) 관광'을 실현하는 사업이다. 양수배 공사 관광복지팀장(사진)은 "'열린 관광'은 관광 약자에게 주어질 수 있는 차별 제거를 위한 각종 정책과 제도 마련,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과 교육, 홍보 및 정보 공유를 위한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 모든 것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
열린 관광은 이미 전 세계적인 추세다. 유럽연합에서는 2000년부터 장애인을 포함한 교통약자들의 보편적 관광 향유를 위한 시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장애인 모범도시 선정, 숙박 등 관광시설에 대한 접근성 인증 제도 등을 통해 열린 관광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열린 관광지 사업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관광지를 대상으로 무장애시설 조성과 정보 제공, 시범관광 이벤트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2018년 현재 용인 한국민속촌, 보령 대천해수욕장, 여수 오동도 등 총 17곳이 개.보수를 거쳐 열린 관광지로 조성됐고 앞으로 2022년까지 총 100곳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 양 팀장의 설명이다.
열린 관광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무장애 관광에 관한 정보 제공도 필수다. 양 팀장은 "현재까지 공사 사이트인 '대한민국 구석구석'의 무장애 여행 코너에 수록돼 있는 80개의 추천코스와 5000여개 DB를 계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한다.
선정된 열린관광지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작년엔 총 9300여명의 장애인들을 직접 열린 관광에 참여시키는 시범관광을 통해 불편사항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받아 담당 지방자치단체들과 공유했다.
양 팀장은 "열린 관광은 취약계층에 대한 일방적인 배려가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한 권리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교통, 숙박, 음식, 쇼핑 등 관련된 모든 분야에 그런 인식이 녹아들어야 한다"며 "100개 조성이 사업의 최종 목표는 아니며 모든 사람이 이동 불편이나 활동 제약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열린 관광 환경은 꾸준히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yccho@fnnews.com 조용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