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지·목책 전경
그동안 문헌과 구전으로만 전해오던 아라가야 왕성이 경남 함안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달부터 경남 함안군 가야리 289번지 일원에 대한 발굴조사를 펼친 결과 대규모 토목공사로 축조된 토성과 목책 시설과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터, 5세기 중반에서 6세기 중반 사이의 각종 토기 조각들을 찾아내면서 아라가야 왕성의 실체를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그동안 함안군 가야리 일대는 1587년에 제작된 조선 시대 읍지인 '함주지'와 일제강점기의 고적조사보고에서 아라가야의 왕궁지로 추정되어 왔다. 또 이곳은 '남문외고분군', '선왕고분군', '신읍' 등 왕궁과 관련된 지명도 아직 남아 있어 아라가야의 왕궁지로 추정됐지만 최근까지 실질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 실체를 밝힐 수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토성과 목책, 건물터 등 왕성과 관련된 시설을 확인하면서 전성기 아라가야 최고지배층의 실체에 다가가는 성과를 거뒀다.
목책 및 건물지 기둥구멍 단면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토성은 가야권역에서 발견된 동시기 유적과 비교할 때 그동안 발견된 사례가 없는 축조기법과 규모를 보인다. 흙을 쌓는 과정에서 성벽이 밀리지 않도록 축조 공정마다 나무기둥을 설치했으며 판축 과정에서 흙을 쌓아 다지는 등 매우 정교한 축조기법을 사용했다. 성벽 상부에는 2열의 나무기둥이 확인되는데 방어시설인 목책으로 추정된다.
토성의 규모는 전체 높이 8.5m, 상부 폭 20m~40m 내외로 치면 동시기 가야권역에서는 유례없는 대규모로 추정된다.
토성 내부에서는 방어시설인 목책과 함께 건물터, 구덩이 등이 같이 발견됐다. 건물터는 현재 정확한 형태와 규모를 추정하기 어렵지만 고상건물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반암을 인위적으로 파서 조성한 구덩이는 긴네모꼴이며 용도는 명확히 알 수 없는 상태다. 하지만 구덩이 안에서 부뚜막으로 추정되는 시설이 있고 주로 고분 등 의례 공간에서 나오는 원통 모양 그릇받침이 출토돼 특수한 목적으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손잡이 달린 완, 붉은색의 연질토기 등이 구덩이에서 나왔는데 이 유물들은 건물터 내에서도 발견됐다. 토기 조각들은 대체로 5세기 중반~6세기 중반의 유물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토유물
이번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토성은 대규모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는 막강한 정치 권력의 존재를 보여 주는 증거로 아라가야가 가야의 중심세력으로 활동하였던 정치·경제적 배경을 가늠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 '일본서기' 흠명기 544년과 552년 기록에 등장하는 아라가야의 임금인 '안라왕'의 실제 거주 공간을 추정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아라가야 왕성 발굴현장의 일반 공개설명회는 오는 11일 오후 3시에 개최한다.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로 문의하면 된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