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현대차그룹,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에너지저장장치' 사업 진출

현대차그룹,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에너지저장장치' 사업 진출
26일 서울 강남구 임피리얼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현대차그룹-바르질라&그린스미스 에너지' 협약식에 참석한 '바르질라' 에너지 부문 하비에르 카바다 대표(왼쪽부터), 현대차그룹 전략기술본부 지영조 부사장, '그린스미스 에너지' 존 정 최고경영자(CEO)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6일 서울 논현동 임피리얼 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현대차그룹-바르질라&그린스미스 에너지' 협약식에 참석한 '바르질라' 에너지 부문 하비에르 카바다 대표, 현대차그룹 전략기술본부 지영조 부사장, '그린스미스 에너지' 존 정 최고경영자(왼쪽부터)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한 에너지저장장치(ESS)사업에 진출한다. ESS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후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로 전력의 시스템 효율 강화와 수급 안정화에 기여해 신에너지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ESS사업은 노후된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것으로 미래 먹거리 발굴과 자원 순환성 제고를 동시에 확보하는 새로운 시장이다.

■해외기업과 손잡고 ESS시장 공략
현대차그룹은 26일 '재활용 배터리 ESS' 개발의 가속화 및 사업성 확보를 위해 세계적인 에너지기업인 핀란드의 '바르질라'와 전략적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바르질라는 전세계 177개국 이상에서 67GW 규모의 발전 설비 용량을 구축한 에너지 분야 종합 솔루션 제공 기업이다. 양사는 재활용 배터리 기반의 ESS 제품을 개발해 전기차 보급 활성화에도 나선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이 인수한 ESS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문업체 '그린스미스 에너지'도 이번 사업에 가세했다. 미국 ESS 시장의 3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업체로 ESS 설계, 제작, 제어 기술력과 글로벌 사업 네트워크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차세대 유망사업으로 ESS를 선택한 것은 전기차 시장과 동반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에너지 시장분석 업체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NEF)'에 따르면 전기차 재활용 배터리 물량은 2016년 0.1GWh에서 2025년 29GWh로 9년간 290배에 이르는 폭발적인 성장세가 예상된다. 이중 10GWh 가량이 ESS에 활용될 전망이다. 이는 4인기준 2만8000가구가 월평균 350kWh의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로 현대차의 코나 전기차(64kWh) 15만5000대 이상을 충전할 수 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역시 지난해 110만대 수준에서 2025년 1100만대, 2030년 3000만대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040년에는 6000만대로 증가해 연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5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3년내 산업용 제품 개발
현대차그룹은 이번 파트너십 협약을 계기로 ESS 설계 및 제작 기술 확보, 설치 및 운영 경험 축적, 유지 및 보수 편의성 제고 등 차별화된 핵심 기술력 강화와 사업성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ESS 관련 기술 고도화 및 사업 경제성 검토를 위한 실증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전기차 개발 및 판매, 재활용 배터리의 회수, ESS 개발 및 판매·유지·보수로 이어지는 자원 순환형 사업 체계도 가동한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현재 현대제철 당진공장에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 기아차 쏘울 EV의 재활용 배터리를 기반으로 1MWh급 ESS 설비를 구축하는 실증사업을 진행중이다.

향후 3년 내에는 산업용 ESS 상용화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등록된 자산으로 회수가 수월하고, 사업화에 적합한 물량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신규 배터리 대비 낮은 가격이 장점이다. 전세계적으로 폐기물 재활용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도 관련사업이 주목받는 이유다.
독일, 영국, 중국 등 주요국들은 제품 생산자에게 폐기물 회수 및 재활용 의무를 부여하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를 적극 도입중이다. 한국도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구매 보조금을 받은 전기차는 폐차 시 탈거된 배터리를 해당 지자체에 반납해야 한다. 이 때문에 재활용, 분해, 처리 방법에 대한 규정 마련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