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

"시내면세점 지금도 포화… 과당경쟁 우려"

업계, 시내면세점 확대 발표에 시큰둥
서울 시내면세점 3년새 2배 증가 전국서 총 22개 시내면세점 경쟁
면세업계 "경영환경 어려운데 사업자 늘리기는 무의미하다"

정부의 '시내 면세점 확대' 계획 발표에 면세점업계가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장 환경이 녹록하지 않은 상황에서 신규 사업자 추가가 과연 바람직한가에 대해 대부분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과당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19일 면세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관광산업 촉진을 위해 시내면세점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신규 특허 요건을 완화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대기업 면세점의 경우 지자체별 면세점 매출액이 전년보다 2000억원 이상 늘거나 지자체별 외국인 관광객이 전년보다 20만명 이상 늘면 신규 특허를 내줄 계획이다. 중소기업 면세점은 상시 허가가 가능하도록 바꾼다.

하지만 면세업계 반응은 차갑기만 하다. 국내 면세 시장 규모를 감안할때 기존 시내면세점 숫자가 결코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현재 시내면세점은 총 22개가 운영 중이다. 대기업중에선 롯데·신라·신세계·두타·한화·현대백화점면세점 등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더욱이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서울 지역내 시내면세점은 2015년 6개에서 불과 3년새 이미 2배나 증가했다. 이달말 문을 여는 탑시티면세점 신촌역사점까지 추가하면 총 13개 면세점이 경쟁하는 셈이다.

한 대기업 면세업체 관계자는 "국내 면세업계 매출 규모가 매년 성장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이익적인 측면에서는 정비례하지 않는다"면서 "포화상태에서 신규 특허권을 더욱 늘리겠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매출의 발생처도 비정상적이다. 매출 대부분을 중국 보따리상이 차지하는 비정상적인 구조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국내 면세점을 이용하는 외국인수는 6개월 이상 150만명 수준에 정체되어 있다.

중소·중견 면세사업자들도 미온적인 반응이긴 마찬가지다. 경영 환경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사업자만 늘리는 것은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중소 면세업계 관계자는 "중소·중견기업들에게 문호를 확대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만 볼일은 아니라고 하지만 이후 운영과 관련해서는 현재 결코 낙관할 수 없다"고 전했다.
중소중견면세점들이 자생할 수 있는 지원책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일각에서는 '과당 경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수익성 확보를 위한 비용절감 노력이 불가피하고 '서비스 질 하락'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