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마트시티 수출 지원과 관련, 1조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만든다. 중국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단순 해외 건설 및 플랜트 사업을 넘어 스마트시티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확대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중위험의 경우 3조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펀드를 신설하고, 총 6조원 규모로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실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설립된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를 통해 '건설 플랜트 및 스마트시티 정책펀드(가칭)' 조성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우선 1조500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향후 3조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KIND는 이미 운용사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KIND를 비롯해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들이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KIND는 자본시장법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관리·모니터링에 주력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한국투자공사(KIC)와 한국수출입은행도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펀드는 모펀드-자펀드 구조로 추진된다. 실제 집행 형태는 블라인드 펀드와 프로젝트 펀드를 혼용할 예정이다. 수출입은행은 프로젝트 펀드에 여신 추가 지원까지 검토하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KIND는 트랙 레코드가 부족한 만큼 정부 재정자금이 투입되는 목적에 맞게 모니터링·관리 역할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며 "모펀드 운용에 있어 현재 모펀드를 전문적으로 운용해온 민간 운용사들의 협조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펀드를 조성하더라도 4차산업 기반과 기술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애로를 겪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스마트시티 수출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스마트시티는 5G기반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드론을 포함한 무인택배, 자율주행차량과 연계된 우버나 디디추싱 같은 차량공유경제 기반, 빅데이터 구축 및 자유로운 활용 그리고 심지어는 원격진료를 포함한 스마트병원 등과 연계해야 한다. 한국은 여러 부분에서 아직 규제에 묶여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수출에서 최대 경쟁자인 중국은 최대 IT기업 알리바바가 있는 항저우를 중심으로 2022년까지 5G기반 최첨단 스마트시티 구축을 추진 중"이라며 "이 사업이 완료될 경우 한국의 스마트시티 수출경쟁력은 정부의 희망과 무관하게 중국에 밀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