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출시된 리츠는 1000억원 내외의 중소형 규모였다. 하지만 홈플러스 리츠는 4조5000억원에 이를 정도로 규모면에서 압도적이다. 올해 한국 상장 리츠가 본격적으로 성장을 시작하는 한 해로 만들겠다."
구영우 한국리테일투자운용 대표는 27일 "유사 글로벌 상장 리츠 대비 홈플러스리츠가 최상의 투자 경쟁력을 갖췄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올해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대어로 꼽히는 홈플러스리츠의 예상 공모 규모는 1조5650억 원에서 1조7274억 원에 이른다. 총 자산 규모는 공모희망가 상단 5000원을 기준으로 약 4조3000억 원이다. 한국리테일투자운용은 홈플러스 리츠의 자산운용을 담당한다.
구 대표는 "홈플러스 리츠 이전 국내 상장 리츠 전체의 시가총액이 6500억원 상당으로 시장에서 대규모 리츠 공모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계신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모 물량을 국내 증권사와 외국계 증권사에 16 대 84의 인수비율로 배정해 처음부터 상장 리츠가 활성화돼 있는 해외시장 수요를 타깃으로 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리츠 상장에 대해 해외 기관들이 관심을 보이며 물량을 달라고 아우성이라고도 구 대표는 전했다.
임일순 홈플러스 대표는 "홈플러스는 핵심 상권에 위치한 다양한 오프라인 채널과 신선식품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채널이 결합된 멀티채널 유통기업"이라며 "경쟁사 대비 공간 활용 가치가 큰 점포망을 활용해 온오프라인 결합 역량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홈플러스리츠의 목표 배당수익률은 7%대다. 이는 글로벌리츠지수에 편입돼 있는 싱가포르 포춘 리츠(5.5%), 일본 이온의 점포 대상 리츠(3.6%)에 비하면 높은 수치다. 특히 지난해 글로벌 경기 둔화로 아시아 주식시장이 고전을 면치 못했던 중에서도 글로벌리츠 지수는 5.7%의 수익률을 기록해 안정성이 높다는 평가다.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공식화하면서 국내 기준금리 동결이 예상되는 점 또한 홈플러스 리츠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구 대표는 "리츠 상장으로 홈플러스는 재무구조가 강화되는 효과를 볼 전망"이라며 "대출 상환으로 감소하게 되는 이자비용, 줄어드는 감가상각비와 리츠로부터 받는 배당금이 임차료 부담을 상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장 대표 주관사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 골드만삭스증권회사 서울지점이며, 공동 주관사는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노무라금융투자, 다이와증권캐피탈마켓코리아이다.
kjw@fnnews.com 강재웅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