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

김미경 은평구청장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 '올인'"

당초 부분 지하화’해 설치 계획...현재 '완전지하화' 형태로 변경

김미경 은평구청장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 '올인'"
김미경 은평구청장 지난 28일 서울 은평구 진관동 광역자원순환센터 예정 사업부지에서 기자들에게 향후 추진 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지난 28일, 서울 은평구 진관동 광역자원순환센터 예정 부지.

김미경 은평구청장은 기자들과 만나 "2000년 도시계획시설 결정 고시 이후 변경, 수정을 거쳐 이곳에 광역자원순환센터 추진을 숙원 사업으로 생각하고 '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는 총 사업비 999억원을 들여 재활용선별시설, 생활폐기물 적환시설, 대형폐기물 적환장 등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과거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로 건립이 추진됐으나 현재 광역재활용처리시설로 사업이 변경됐다. 이후 시설을 ‘부분 지하화’해 설치하는 것으로 사업비 심의를 통과했으나, 주민들의 반발을 고려해 현재의 '완전지하화' 형태로 사업 계획을 변경했다. 현재 지방행정연구원에 타당성조사를 의뢰했고, 2023년 9월까지 준공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은평구에서 나오는 각종 폐기물 중 자체처리 비율은 36.6%에 그친다. 나머지는 김포 수도권매립지와 양주소각장에서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2025년 이후 수도권매립지가 종료될 예정이고 양주시도 인구가 늘며 은평구 폐기물 반입을 막고 있다. 이에 자체폐기물 처리와 적환을 위해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은평구에서 나오는 재활용품은 하루 50톤 이상으로 센터가 건립되면 하루 재활용 쓰레기 150톤, 생활폐기물 130톤을 선별·적환할 수 있을 전망이다. 폐기물 처리 시설은 크게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소각시설, 재활용품 선별 시설 등 3가지로 나뉜다.

현재 은평구와 인접한 서대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설이 있고, 마포구에는 생활폐기물 소각 시설이 있다. 은평구에 재활용품 선별 시설이 설립되면 인접한 3개구가 각 시설을 공유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김미경 구청장은 "각 구별로 3개 시설을 따로 설치하면 비용도 많이 들고 효율도 떨어지게 된다"며 "3개 구가 이처럼 소각장, 재활용 시설, 음식물 처리시설 등을 공유하는 것은 최초의 시도로 환경부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평구는 광역자원순환센터를 완전 지하화해 냄새와 유해물질을 원천 차단하고, 지상에는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축구장과 족구장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광역 자원센터가 들어서는 부지와 인근 주택가와 충분한 거리도 확보했다. 가장 가까운 지축주택단지가 350m, 은평뉴타운이 700m 떨어져 있다. 실제 양천, 강남, 노원 등의 소각시설의 경우 가장 가까운 주거 단지와의 거리가 50m~160m로 은평구와 비교해 훨씬 더 가깝다.

일부 주민과 민원인들의 반발은 해결해야 할 과제다. 지난 5월10일 국민신문고 기초자치단체 민원발생 1위는 은평구가 차지했다.
1~4월 기준 은평구 월 평균 민원은 약 1만7000건에 달한다. 하지만 접수 된 민원의 85% 이상이 20명의 악성 민원인들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 은평구의 설명이다.

김 구청장은 "은평구는 자체 폐기물처리 시설이 없어 매년 6억6000만원, 서울에서 가장 많은 폐기물 처분 부담금을 내고 있다"며 "악취, 교통량 증가 등에 대한 대책을 철저히 마련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