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자유연대,홍대 걷고 싶은거리에서’내 이름은 사육곰‘캠페인 진행
-사육곰 문제의 심각성과 사육곰산업 종식의 필요성 전달
-사육곰 보호시설을 통한 문제해결을 구하는 지지의 목소리 높아
동물자유연대는 곰보금자리와 함께 3일 오전11시30분부터 오후2시까지 홍대 걷고싶은 거리에서‘내 이름은 사육곰’시민 캠페인을 진행했다.
사육곰 문제 해결에 대한 시민들의 지속적인 지지와 관심을 구하기 위해 기획된 이번 캠페인을 통해 동물자유연대는 사육곰 문제에 대해 알지 못했던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사육곰 문제의 심각성과 문제 해결의 필요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사육곰 문제를 보다 쉽게 알리기 위해 동요‘예쁜 아기곰’을 개사한‘나는 사육곰’노래를 공개하고,사육곰 산업의 역사와 사육곰의 열악한 사육환경 및 정형행동 등의 건강상태,사육곰 생츄어리(보호시설)을 통한 문제 해결 필요성을 설명하는 판넬을 전시했다.
참여 시민들은 사육곰의 구조와 생츄어리 건립의 내용을 담은 특별법제정 서명과 열악한 환경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사육곰을 위한 메시지를 작성하며 조속한 문제해결에 뜻을 함께 했다.
주최측은 이들에게 사육곰의 발바닥을 의미하는 팔찌를 증정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했다.이날 캠페인에는 약200여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사육곰 문제에 대해 처음 접했다는 한 시민은 “웅담 채취 목적으로 곰을 사육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이렇게 열악한 상태에 곰을 방치하는 것은 잔인한 처사”라며 보호시설 건립을 통한 사육곰 산업의 종식에 지지의 목소리를 보냈다.
한국의 사육곰 산업은1981년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한 정부 권장으로 곰 수입이 시작되었으나 멸종위기종인 곰에 대한 보호여론이 높아지며1985년 곰의 수입이 중단, 1993년 CITES가입으로 곰 수출 또한 금지되어 사실상 사육곰 산업 정책은 실패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 2013년 사육곰의 전량 매입 등 적극적 개입을 통한 문제 해결을 뒤로 한 채 사육곰 증식금지 사업을 결정,사육곰 중성화 이후 남은 곰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사육곰 산업은 개인이 영리를 위해 스스로 결정한 측면이 있으며,인력과 예산의 부족,사회적 공감대의 부족 등을 이유로 사육곰 문제에 대한 적극적 대책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캠페인을 진행한 동물자유연대의 채일택 팀장은 “사육곰의 존재를 알지 못했던 시민들도 캠페인을 통해 사육곰의 열악한 현실을 접하고 조속한 문제 해결에 많은 응원과 공감을 보냈다”며 정부는 더 이상 시민의 공감대를 근거로 문제 해결을 미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동물자유연대는 사육곰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단‘곰벤져스’와 함께 앞으로도 사육곰 농가의 해먹설치,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하는1인 시위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며,사육곰 산업 종식과 사육곰 보호·관리시설 마련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반려동물전문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