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韓 철강-반도체 최대 피해 우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韓 철강-반도체 최대 피해 우려
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관에서 열린 '미중 패권전쟁과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통상전문가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미·중 무역전쟁이 내년 미국 대통령선거까지 지속될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생산기지 다변화 등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미·중 갈등이 전면적인 글로벌 관세전쟁으로 확대될 경우 국내 철강과 반도체 산업이 최대 피해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관에서 열린 '미·중 패권전쟁과 대응전략 세미나'에 참석한 통상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이 연내 타결 가능성이 낮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서진교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선임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트럼프 입장에서는 내년 재임을 위한 성과도출이, 시진핑은 중국 경제안정과 성장지속이 중요하기 때문에 통상마찰의 조기봉합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전략상 협상을 2020년 미국 대선까지 끌고 갈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특히, 미·중 패권경쟁은 2020년 대선결과에 관계없이 그 이후까지 계속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장기관점에서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 좌장인 박태호 전 통상교섭본부장은 "미·중 대립은 무역뿐 아니라 세계 금융과 외환시장까지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며 "금융발이 아닌 무역발 실물경제 위기가 불거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기업들의 대응전략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왕윤종 현대중국학회장은 "미·중 마찰은 종합적 시각으로 봐야하는데 올해 안에 봉합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며 "미국은 합의 이행을 중국 국내법 개정 수준으로 요구하지만 중국은 내정 간섭이라고 반발하고, 트럼프는 대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협상 양보는 절대 안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통상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시 국내 철강과 반도체 산업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우려했다.

이윤희 포스코경영연구소 상무는 "철강산업은 미·중 통상마찰 이전부터 보호무역주의의 핵심 업종이라 피해가 더 클 수 밖에 없다"며 "철강은 수출비중이 40~45% 정도로 대외의존도가 높은데 미국의 무역 232조 적용에다 미·중 분쟁까지 겹치면 최대 10년은 대미 수출 복원은 어려울 수 있다"고 예상했다.

왕윤종 회장은 "중국이 반도체 굴기를 추진중인 상황에서 미·중 분쟁 장기화는 삼성전자 시안 낸드공장, SK하이닉스 우시 D램공장의 볼모화를 가중시킬 수 있다"며 "삼성이나 SK가 미국, 일본 등 비중국권과 탄탄한 반도체 동맹전선을 구축해 대응하는 게 최선"이라고 지적했다.

박태호 전 본부장(법무법인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장)은 “장기화되는 미중 통상전쟁에 대비하기 위해서 우리 기업들은 수출시장, 수출품목, 해외 조립생산기지 등을 다변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또한, 기술보호주의 확산에 대비해 우리 기업들은 첨단기술 확보를 위한 외국 선진기업들과의 M&A를 적극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cgapc@fnnews.com 최갑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