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성장성 높은 핵심기술 기업에 투자… 엔비디아·퀄컴 등 담아 [이런 펀드 어때요?]

미래에셋글로벌코어테크EMP
클라우드 서버 등 코로나 수혜
반도체 중심 업종에 투자 집중
올 들어 22% 수익률 기록
ETF 분산투자로 위험성은 줄여

성장성 높은 핵심기술 기업에 투자… 엔비디아·퀄컴 등 담아 [이런 펀드 어때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미래에셋글로벌코어테크EMP'는 중장기적으로 미래 소비변화와 기업 이익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투자성공 확률을 높이고 싶은 투자자라면 주목할 만 하다. 이 펀드는 글로벌 전역에 걸쳐 혁신적인 핵심기술을 보유, 높은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들에 분산투자한다.

올해 22%↑, ETF 통한 분산투자로 리스크↓


4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지난 2018년 4월 설정 된 미래에셋글로벌코어테크EMP는 올해 들어 지난 9월25일까지 22.13%의 성과를 기록했다. 3개월과 6개월 성과는 각각 5.90%, 58.27%에 달한다.

미래에셋운용 최성민 자산배분운용 팀장은 "주식 투자는 기업 성장성을 보고 해야 하는 것"이라며 "현재 대부분의 잠재 성장성이 높은 종목들은 소비변화를 이끌고 있는 핵심기술업종"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소수 종목에 집중 투자하면 단기 수익률은 높지만 항상 개별기업 소식에 마음을 졸일 수 밖에 없다"면서 "이 펀드는 위험성을 줄이고 장기투자 할 수 있도록 다수의 ETF를 활용해 분산투자를 크게 강화한 점이 특징"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글로벌 전역에서 유망한 핵심기술(코어테크)를 가진 기업을 잘 찾아내서 높은 잠재 성장성에 투자하되 ETF를 통한 분산투자(EMP) 구현해 위험성을 줄이는 전략을 구현한 것도 이 펀드의 핵심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현재 이 펀드는 엔비디아, 인텔, 퀄컴 등 글로벌 '톱 10' 혁신 기술 기업에 분산 투자중이다.

최 팀장은 "이 펀드는 장기적인 청사진 보다 '실제로 높은 수익이 발생하는 기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가장 중요시 한다"며 "이에 따라 높은 기업이익 성장이 예상되었던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는 하드웨어 업종에 주로 투자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1·4~2·4분기 동안 실제로 코로나19 수혜로 클라우드 서버와 노트북 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편입중인 TSMC와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의 주요 반도체 종목 수익률이 대단히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이 펀드는 또 최근 2개이상의 섹터가 만나 새로운 기술영역을 만들어 내는 소위 '융합 테크'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일례로 정보기술(IT)과 자동차 영역이 만난 자율주행차 영역으로, 대표주자는 테슬라가 꼽힌다. 테슬라는 최근 4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고 펀드가 이러한 점을 선제적으로 반영해 투자해 성과에 기여했다는 설명이다.

반도체 긍정적…원료의료·中기술업종도 유망


최 팀장은 반도체업종에 대한 낙관론을 유지했다. 클라우드와 자율주행 전기차, 온라인 리테일 등이 반도체 수요를 크게 이끌 것으로 전망했다. 또 언택트 수요가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면서 온라인 활동을 위한 전자기기 사용 증가와 자율주행차 생산 확대도 반도체 업황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판단했다.

2021년 부상할 유망 테마로는 원격의료와 중국 기술업종을 꼽았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는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5G의 도입에 따른 빠른 데이터 연결과 언텍트 경험의 확산은 비대면 의료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이어지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고 있다"면서 "원격의료는 정부 재정지출이 우호적인 여론을 가진 상황에서 주로 정부주도 차원의 투자도 함께 논의되고 있어 투자매력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의 분쟁으로 중국 정부가 핵심 기술의 국산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대표적인 분야가 반도체, 클라우드, 전기차, 바이오 관련 영역이다.
"이 중 반도체는 화웨이 등 중국 업체에 대한 반도체 수출이 금지되면서 공격적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주목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대선 변수에 대해서는 유의해서 봐야한다면서도 위험 수준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최 팀장은 "과거 미국 민주당 유력 인사들이 관련 정책을 언급 했지만 현재 민주당 대선 후보는 온건한 정책을 주로 펴고 있다"며 "현재의 미국 부진한 경제상황과 고용현황을 고려할 때 반기업 정책을 펴기에는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어 해당 위험 수준의 영향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