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쌍용차·한국GM 친환경차 현황> |
구분 |
전기차 |
하이브리드차 |
르노삼성 |
르노 조에, 르노 트위지(초소형전기차) |
XM3 하이브리드(유럽 수출용) |
쌍용차 |
E100(예정) |
없음 |
한국GM |
볼트EV, 볼트EUV(예정) |
없음 |
|
|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환경규제 강화에 속도를 내면서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한국GM 등 국내 중견 완성차 3사에 비상등이 켜졌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 비중을 대폭 늘려야 하지만 아직 내연기관차 중심으로 차량 라인업이 꾸려져 있기 때문이다. 오는 2023년부턴 환경규제 목표치를 지키지 못하면 과징금 성격의 기여금 부과까지 추가된다. 쌍용차는 아직 판매하는 전기차가 없고, 르노삼성과 한국GM도 초소형전기차를 제외하면 국내 공장엔 생산 라인이 없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GM은 올해 2종의 신형 전기차를 국내 시장에 내놓는다. 연내 출시 예정인 전기차는 볼트EV 부분변경 모델과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형태인 볼트EUV다. 두 차량 모두 한번 충전시 400km의 거리를 달릴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격도 기존 모델보다 대폭 낮추는 등 공격적인 행보가 예상된다.
르노삼성은 올해 신형 전기차 출시는 없다. 다만 지난해 내놓은 르노 조에를 내세워 판매 확대에 나선다. 조에는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 판매량이 10만대를 웃돌며 판매 1위에 오른 모델이다. 아울러 유럽 시장에 수출되고 있는 XM3 하이브리드 모델을 국내 시장에 출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쌍용차도 당초 상반기 중으로 코란도 기반의 전기차 E100(프로젝트명) 생산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지분 매각 협상에 난항을 겪으면서 기대를 걸었던 P플랜(사전회생계획)도 향후 일정이 불투명한 상태다. 이달 들어 일부 협력사들이 납품대금을 먼저 지급하라며 부품 공급을 멈추면서 공장 가동중단이 이어지고 있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를 늘려야 하는 직접적인 이유는 정부의 환경규제가 빠른 속도로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매년 일정 비율 이상을 저공해차, 무공해차로 판매해야 하고 이를 지키지 못하면 2023년부턴 매출의 1% 범위에서 기여금을 물어야 한다. 온실가스 배출 허용 기준도 계속 강화돼 2025년 89g, 2030년에는 km당 70g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내연기관차 판매는 줄이고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차 판매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최근 환경부는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를 지키지 못한 르노삼성에 393억원, 쌍용차엔 389억원의 과징금을 산정하기도 했다.
문제는 한국GM과 르노삼성의 경우 전기차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판매 확대에 제약이 크다는 점이다. 초소형전기차 트위지를 제외하면 중견 완성차 3사 중 국내 공장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는 곳은 한 곳도 없다. 한국GM은 모회사에서 볼트EV를 수입해 판매하고 있으며, 르노삼성도 SM3 전기차가 단종된 이후 르노에서 조에를 수입해 판매한다.
이 때문에 노조는 매년 임단협에서 전기차 등 미래차 일감을 달라고 사측에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임단협을 타결 짓지 못한 르노삼성 노조는 "수출 물량인 XM3 하이브리드 모델을 내수시장에서도 판매하려는 최소한의 노력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모회사들은 매년 지속되고 있는 파업, 높은 임금구조 등을 이유로 한국 내 전기차 배정에 소극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공장에서 전기차 등 미래차를 생산하지 못한다면 수출 물량도 계속 축소될 수밖에 없어 경쟁력이 더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