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통신3사, K앱마켓'원스토어' 투자… 구글대항마로 키운다 [토종 대표 앱마켓 뜬다]

KT·LG U+ 260억 지분 확보
기존주주 SKT·네이버와 협력
막대한 수수료 챙기던 구글 견제

통신3사, K앱마켓'원스토어' 투자… 구글대항마로 키운다 [토종 대표 앱마켓 뜬다]
해마다 앱마켓 수수료로만 1조5000억원에 달하는 국부가 유출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항하기 위해 국내 통신3사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손을 잡았다. 스마트폰이 국내 시장에서 정착해가던 2011년 이통3사가 내놓은 통합 앱마켓 'K앱스'의 실패 이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토종 플랫폼 육성에 힘을 모으는 의미 있는 성과다. 특히 막대한 국내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30%의 수수료 장사를 펼치던 해외 앱마켓 사업자들에게 통쾌한 견제구를 날렸다는 평가다.

■진짜 'K앱마켓' 탄생

국내 토종 앱마켓 원스토어는 통신3사, 네이버 등 국내 대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주주로 참여하는 K앱마켓이 탄생했다고 3일 밝혔다.

기존에 SKT와 네이버가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던 원스토어에 KT·LG유플러스가 총 260억원을 투자해 3.8%의 지분을 확보했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210억원(지분율 3.1%), 50억원(지분율 0.7%)을 투자했다. 이에 원스토어의 지분구조는 통신3사(53.9%), 네이버(26.3%), 재무적투자자(18.6%) 등으로 재편됐다. 기존 지분구조는 SK텔레콤(52.1%), 네이버(27.4%), 재무적투자자(19.4%) 등이었다.

이번 지분 투자를 계기로 통신3사의 기존 사업협력 관계가 더욱 공고해지고 나아가 공동책임경영 체제도 구축될 전망이다. 통신3사는 2016년 각사의 앱마켓(SKT T스토어, KT 올레마켓, LG유플러스 U+스토어)과 네이버 앱스토어를 원스토어로 통합했으며 현재 3사 이용자에게 원스토어 유료결제 시 멤버십 10% 할인을 제공하는 등 사업적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구글 대항마 되나

이번 투자의 배경에는 토종 앱마켓의 경쟁력을 키워 국내 ICT 생태계를 굳건히 해야 한다는 통신3사의 공감대가 있었다. 지난해 불거진 구글의 '앱 통행세' 논란으로 시장 지배적 위치의 플랫폼 기업이 산업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구글이 그동안 게임 앱에만 받아오던 30%의 수수료를 연매출 11억원 이상 모든 앱으로 확대 적용하기로 발표하자 막대한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인앱결제를 강제화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국내 앱 개발사의 비용부담을 높여 생존을 위협할 수 있는 데다 소비자에게도 요금인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의 인터넷기업협회와 스타트업 대표단체인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 구글의 수수료인 30% 중 절반이 통신사에 돌아간다며 유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에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나서 통신사는 휴대폰 결제수수료를 받을 뿐이고 그 비중도 구글이 받아가는 전체 수수료의 3~4% 수준에 불과하다며 정면으로 반박하는 해프닝이 벌어졌었다.

당시 통신업계에서는 구글 앱 수수료 문제를 국내 업계 간 싸움으로 비화시켜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토종 앱마켓 성장 '한목소리'

통신사들이 경쟁에만 치우쳐 국내 앱마켓 시장을 외국 업체에 완전히 내어준 과거에 대한 뼈아픈 반성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경우 보급된 스마트폰 대부분이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지만 안드로이드의 앱스토어인 구글 플레이스토어는 쓸 수 없다. 대신 화웨이, 바이두 등 중국 자국 기업이 만든 플랫폼을 통해 앱을 내려받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토종 앱마켓인 원스토어가 많이 성장하긴 했지만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점유율(71.2%)을 따라잡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이에 해외 기업만 배불려주고 있다는 지적을 안팎으로 받아왔고, 통신사들이 토종 플랫폼 육성에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재환 원스토어 대표는 "지난 5년간 공동사업자로 함께해온 두 통신사가 주주로 참여하면서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의 협력이 기대된다"며 "업계와 상생하고 이용자에게 더 큰 혜택을 제공하는 대한민국 대표 앱마켓으로 거듭나도록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true@fnnews.com 김아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