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

과기정통부, 디지털배움터 합동 착수보고회 개최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디지털 뉴딜 현장소통의 일환으로 2021년 디지털배움터 합동 착수보고회를 서울 종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합동 개소식은 전국 지자체, 지역별 사업자, 강사·서포터즈 등이 참여해 올해 디지털배움터 사업 추진방향을 공유하고 전 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시민사회와 공공의 다양한 주체 간 협력을 선언하고 다짐하기 위해 마련됐다.

원하는 국민은 누구나 주민센터, 도서관 등 집 근처 생활공간에서 운영되는 디지털배움터를 찾아 모바일·실생활 중심의 실습형 디지털 역량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올해는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와 226개 기초지자체가 모두 디지털배움터 운영에 참여할 예정이다. 사업 첫해였던 지난해에도 215개 기초지자체가 참여했으며 올해는 전국 지자체의 참여를 독려함으로써 지역 간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할 전망이다.

디지털 기초·생활 교육의 비중은 기존 60%에서 70% 이상으로 확대하고 고령층·장애인·다문화가족 등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최소 20% 별도 편성하도록 신설해 디지털 안전망 역할을 강화해 나간다.

지난해 개발한 디지털 역량 수준 척도 서비스를 시범 운영해 누구나 자신의 디지털 수준을 상시 진단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맞춤형 온오프라인 교육과정도 추천할 예정이다.

배움터 강사·서포터즈는 지난해와 같이 4000명 이상 활동할 예정이며 고용형태를 기존 반일제 뿐만 아니라 전일제·시간제 등으로 다양화해 취업준비생, 경력단절자, 은퇴자 등 다수의 고용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배움터 사업은 지난해 6개월의 짧은 사업 기간과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정부-지자체 간 디지털 뉴딜의 성공적인 협력모델로 자리 잡았다"며 "올해는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협력을 확대·강화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내실화해 디지털배움터가 디지털 포용 사회를 구현하는 지역사회의 중심적 플랫폼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