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4대그룹 탈퇴 이어 코로나 직격탄.. 전경련회비 400억→70억으로 뚝

면세·항공'맏형' 롯데·한진 휘청
일본 재계와 교류통해 활로 모색

한 때 500억원에 달했던 전국경제인연합회의 가입사 회비 규모가 70억원 대까지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농단 사태에 따른 4대그룹 탈퇴에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타격을 입은 기업들이 회비를 제대로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20일 전경련 사업보고서 및 결산서에 따르면 전경련은 지난해 약 71억원의 회비 수익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이는 2020년 101억원 대비 30억원이 감소한 수준이다. 전경련 회비수익은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기 직전인 지난 2015년에 492억원에 달했다. 2016년 전경련이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과 정경유착의 채널 역할을 한 것이 드러나면서 2017년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이 모두 떠나게 됐다. 당시 4대그룹은 492억원 중 77%인 378억원을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엎친 데 겹쳐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현재 가장 큰 회원사인 롯데와 한진이 직격탄을 맞았다. 재계 한 관계자는 "면세·호텔·유통·항공 업종의 실적 악화로 롯데와 한진의 계열사들이 휘청였다"며 "이들을 비롯한 다수의 기업들이 전경련 회비를 아예 납부하지 못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회비 급감으로 지난해 전체 사업수익이 465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38억원이 줄었다. 다만 전경련은 서울 여의도 회관 임대료 수익(234억원), 입주사 관리비(151억원) 등 사옥을 통해 수익을 충당하고 있다.

아울러 조직도 대폭 축소됐다. 재계 '맏형'이던 전경련을 대신해 대한상공회의소가 대표 경제단체로 급부상했고, 당정의 파트너 역할을 도맡았다.


최근 몇년간 구조조정을 지속해 온 전경련은 강점인 일본 재계와 교류를 통해 부활을 노리고 있다. 코로나로 국경이 봉쇄된 상황에서 양국 기업인의 원활한 교류를 위해 '한·일 기업인 특별입국 절차'에 합의하는 등 민간 중심의 관계 복원에 앞장선 사례가 대표적이다. 아울러 지난 16일에는 주한 일본대사 초청 기업인 간담회를 여는 등 수출규제 사태 이후 꽉 막힌 일본과의 관계를 풀어가면서 활로를 찾고 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