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전세계 1만4600명 설문조사 보고서 발표
[파이낸셜뉴스] 전세계 직장인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정체된 삶에 답답함을 느끼고 있으며,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경력개발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직장인 10명중 9명은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있어 기술의 도움을 받기를 원했다.
오라클과 워크플레이스 인텔리전스가 전세계 13개국의 인사담당자와 임직원 1만4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오라클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직장인들 81%가 지난 한해 동안 개인의 삶이 정체돼 답답함을 느꼈다고 답했다. 또한, 향후 미래를 결정하는 데 있어 기술의 도움을 받기를 원하는 비율과 경력개발에 사람 보다 AI를 활용하겠다는 응답도 글로벌 평균을 웃돌며 기술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동시에, 향후 기업 내에서 직원의 경력개발에 대한 지원이 더 많아져야 한다고 답했다.
박천우 한국오라클 전무는 "팬데믹 이후 근로자들은 자기주도권 상실과 정체를 겪었으며, 이제는 정체로부터 탈출을 원하고 있다는 점이 이번 조사의 중요한 화두"라고 말했다. 또 박천우 전무는 "인사적인 측면에서 위드 코로나가 시작되며 '인재 전쟁' 양상으로 갈 수 있어, 기업은 직원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로 삶 부정적 80%
이번 연구에 참여한 다수의 응답자는 팬데믹으로 인한 1년 이상의 지속된 사회적 거리 두기 및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개인의 삶과 경력에 대한 주도권을 상실했다고 느끼는 등 다음과 같이 감정적으로 크게 혼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거나(29%),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고(28%), 경력개발 의욕 상실(25%), 개인 삶의 단절감(23%)을 느끼는 등 전체 응답자의 80%가 지난해 삶이 부정적으로 변했다고 답했다.
또한, 62%는 2021년이 직장에서 스트레스가 가장 많았던 해라고 답했으며, 과반이 넘는 사람이 2020년보다 2021년에 정신적으로 직장에서 더욱 힘들었다(52%)고 응답했다.
개인 삶과 경력에 있어 모두 주도권을 상실했다고 느끼는 응답자의 수는 팬데믹이 시작된 이래 2배로 증가했으며 주도권을 상실했다고 느끼는 부분은 개인의 삶(46%), 자신의 미래(43%), 경력(41%), 인간관계(39%)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와 같이 느끼는 응답자의 비율은 글로벌 평균 114%가 증가하였으나, 한국의 경우는 13개국 중 제일 낮은 23%에 그쳤다.
76%의 응답자들은 개인의 삶이 정체되어 있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한국 응답자들도 81%가 개인의 삶이 정체되어 있다고 느꼈으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32%), 반복되는 일상에 갇힌 느낌(30%), 외로움의 심화(28%)를 호소했다.
■경력 변화 준비됐다 83%
지난 한 해 겪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많은 직장인들이 자신의 경력에 변화를 줄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3%의 응답자는 지난 한 해를 자신을 되돌아보는 기회로 삼았고, 88%는 팬데믹 이후에 성공의 의미가 달라졌다고 밝히며 일과 삶의 균형(42%), 정신 건강(37%), 유연한 업무 환경(33%)을 우선순위에 두게 되었다고 답했다. 한국 응답자들의 92%도 팬데믹 이후 성공의 의미가 달라졌다는 데 동의하며 일과 삶의 균형을 제일 큰 우선순위에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75%의 응답자는 자신의 경력이 정체되어 있다고 답했는데, 이 중 25%는 경력개발을 위한 기회를 놓치거나 또는 너무 많은 변화에 압도되어서(22%)라고 답했다.
이로 인해 70%의 응답자는 자신의 경력이 정체되어 있다는 생각이 스트레스와 불안을 가중시키고(40%), 개인의 삶 마저 정체되어 있다는 느낌도 심화 시키며(29%), 개인 생활에 집중할 수 없게 해(27%) 삶이 더 부정적으로 변했다고 답했다.
또한, 83%에 달하는 응답자들이 삶에 변화를 줄 준비가 되어있다고 답했으나, 동시에 이를 막는 장애 요소가 있다고 느끼는 응답자들도 76%에 달했다. 장애 요소로는 불안정한 재정 상태(22%), 어떤 경력 변화를 만들어야 할지 모르는 상태(20%), 자신감 결여(20%), 직장 내 성장기회 부족(20%) 등을 꼽았다.
심지어 2022년에는 많은 이들이 경력개발 기회를 위해 휴가(52%), 상여금(51%), 급여(43%) 등을 포기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현재 직장의 지원 사항에 불만을 가진 근로자는 85%로, 이들은 보다 많은 학습 및 기술 개발 기회 제공(34%), 급여 인상(31%), 직장 내 승진 기회(30%) 등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기술 도움 받고파 92%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업무 환경 속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고 양성하기 위해서 기업들은 그 어느 때보다 근로자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기술을 활용해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 한다.
응답자의 85%는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있어 기술의 도움을 받기를 원했으며, 한국의 경우 글로벌 평균 수치 보다 높은 92%가 이에 동의했다. 이들은 각각 새로운 기술 습득 방식을 추천(39%)하며, 경력 목표 달성을 위한 다음 단계를 제시(34%)해주고, 개발이 필요한 기술을 파악(31%)해 주길 바라는 등 AI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사람보다 AI가 경력개발에 더 도움이 된다는 의견은 82%에 달했고, 한국은 이보다 더 높은 94%의 응답률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로는 편견 없이 공정하게 추천(42%)하고, 현재 역량이나 목표에 적합한 맞춤식 리소스를 제공(34%)하며, 경력과 관련해 신속하게 답변을 제공(34%)하고 자신의 현재 역량에 맞는 새로운 직업을 찾아줄 수 있다(31%)는 점을 꼽았다.
반대로 여전히 사람이 경력개발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더 도움이 된다는 답변도 있었는데, 이들은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조언 제공(46%), 장단점 분석(44%), 단순한 이력 이외에 개인 성격에 맞는 업무 추천(41%)이 가능한 점을 중요시했다.
기업들이 좀 더 직원들의 니즈를 반영해야 한다는 근로자는 글로벌 평균 87% 그리고 한국 93%로 향후 기업 내에서 직원들의 경력개발에 대한 지원이 더 많아져야 함이 강조되었다. 이에 더해 AI 등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경력개발을 지원하는 기업이라면 계속 함께할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55%에 달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