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셀리버리, 뷰티 및 생활건강 신사업 생산기지 인수∙개발...헬스케어 사업 진출

관련종목▶

3년 내 코스닥 상장 목표

셀리버리, 뷰티 및 생활건강 신사업 생산기지 인수∙개발...헬스케어 사업 진출
헬스케어 사업 진출을 위한 성인 대상 임상시험 결과. 사진=셀리버리


[파이낸셜뉴스] 셀리버리는 독자적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인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TSDT)의 범용성 확대 및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 독립법인인 셀리버리 리빙앤헬스(Cellivery Living & Health, Inc.)를 출범했다고 17일 밝혔다.

셀리버리는 신사업 확장을 위해 지난 1년간 신사업 개발본부를 구성해 시장성, 사업 타당성 및 기술적 가능성을 검토했다. 이에 연구개발 및 대량 생산기지를 확보하고자 지난해 매출 371억원 규모의 피인수사를 개발 방식으로 인수했다. 이어 인수 법인의 상호를 셀리버리 리빙앤헬스로 변경해 현 셀리버리의 신사업 개발본부 임직원 전원과 피인수사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헬스케어 사업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는 독립법인을 출범시켰다.

셀리버리 리빙앤헬스는 셀리버리가 보유 중인 TSDT 플랫폼 기술의 비독점적 기술 이전을 목적으로 하는 특허 통상 실시권 계약을 맺고, 다양한 사업 분야의 헬스케어 제품군을 연구개발해 사업화 할 계획이다. 또 코로나19를 포함한 감염병 면역치료제로서 개발 중인 내재면역제어 항염증 면역조절제 'iCP-NI'의 특허 물질 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뷰티 및 생활건강사업 등 헬스케어 전 분야에 적용한다.

셀리버리의 사업 개발 팀장은 "본 계약을 통해 셀리버리는 계약 기간 동안 셀리버리 리빙앤헬스에게 TSDT 플랫폼 기술의 통상 실시권을 부여하는 조건으로 계약금 및 매년 기술이전료를 수령할 것"이라며 "뿐만 아니, iCP-NI 등의 뷰티 및 헬스케어 제품군에 대한 원료 공급을 통해서도 역시 상당한 수준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자세한 액수는 양사간 기술 이전 계약과 물질 이전 계약이 완료되면 공개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셀리버리 리빙앤헬스는 면역계제어 약리물질인 iCP-NI의 범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의약품 이외의 스킨케어, 덴탈케어, 바디케어 등의 핵심 사업 분야를 구축했다. 2022년 650억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피인수사의 전문 생산인력과 첨단 제조설비를 기반으로 3년 내 2000억 원대 매출을 달성해 코스닥 시장 상장을 목표로 한다.

또한 헬스케어 신사업 전개를 위한 iCP-NI의 피부 항염효과 및 저자극 기능 등의 안전성 증명을 위해 전문 임상기관에서 지금까지 총 15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이미 마쳤다. 피부 안전성 시험(30명 대상)에서 무독성을 증명함은 물론, 자외선 자극시험(60명 대상)에서 24시간 후 200%의 피부 진정 효능을 입증했다. 아울러 화학적 자극으로 심한 손상을 입은 피수험자들(60명 대상) 임상에서 241%의 피부 회복 능력을 증명해 스킨케어 관련 임상시험을 완료했다. 추가적으로 현재 219명을 대상으로 추가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며 12월까지 모두 완료된다.

셀리버리 리빙앤헬스는 올해 4·4분기부터 임상시험으로 입증된 차별화된 뷰티 사업 분야, 생활 건강 사업 분야 등으로 공격적인 영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전략적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통망 확대를 통해 5년 내 1조원대 매출의 종합 헬스케어 상장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셀리버리의 경영기획본부장은 “셀리버리와 셀리버리 리빙앤헬스는 별도의 법인으로 독립적인 이사회가 구성됐으며 셀리버리의 핵심 사업인 TSDT 플랫폼 기술과 이를 응용한 혁신적 신약물들의 라이선싱 전략은 변함 없다"며 "셀리버리 리빙앤헬스에서 들어오는 기술 이전료, 원료물질 매출 및 로열티 등으로 두 개의 개별 계약에 의해 각각 연 100억원대의 자금 확보가 예상되기 때문에 모기업 셀리버리의 핵심 사업 진행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셀리버리의 사업개발본부(BD) 팀장은 “현재 톱10 글로벌 제약사 미국 사업개발본부(BD) 측과 따로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했고, 기술 라이선싱을 목표로 선천적 희귀유전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신약물개발을 위한 TSDT 플랫폼 융합기술에 대해 논의를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